
서울 도심이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뜨겁게 달아오른 가운데 여름철 ‘천연 그늘막’ 역할을 하는 가로수들이 잎이 부족한 모습으로 시민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일부 가로수는 과도한 가지치기로 인해 그늘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면서 뙤약볕 속 시민들은 허탈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10일 찾은 광화문광장은 체감온도 35도를 웃도는 불볕더위 속에서도 시민들로 붐볐다. 시민들은 땡볕을 피해 가로수 아래로 모여들었지만 대부분의 나무 가지를 최대한 바짝 잘라내 ‘닭발처럼’ 잘려나간 상태였다. 그늘도 미관도 기대하기 어려운 모습이었다.
가족과 함께 광장을 찾은 허은아 씨는 “과한 가지치기로 휑해 보이는 가로수가 미관상 좋지 않다”며 “그늘을 위해 잎을 많이 남겨줬으면 좋겠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경북 영덕에서 서울을 찾은 이희영 씨는 “광장 주변 나무가 휑하고 그늘이 없어서 너무 덥다”며 “영덕에선 잎이 우거진 가로수가 많았는데 처음 보는 광경이다”라고 말했다.
반면 일부 시민은 지자체의 입장도 이해한다는 반응이다. 어머니와 함께 광화문 바닥분수를 찾은 안수미 씨는 “가지치기를 과하게 한 이유가 있을 것 같다”며 “더 잘 자라게 하기 위한 조치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가지치기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특히 여름철 전정은 도시 열섬현상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져 왔다. 서울기술연구원이 지난해 7월 마포구와 중구 일대를 현장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가로수 그늘은 주변보다 평균 15.4도 낮았고 인공 그늘막은 8.4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가로수 그늘이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피서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현실은 기준과는 거리가 있다. 산림청은 지난해 6월부터 ‘도시숲·생활숲·가로수 관리 기준’을 시행하며 약한 가지치기를 원칙으로 줄기 지름의 3분의 1 이상이거나 지름 10cm 이상의 굵은 가지는 가급적 자르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준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다.
환경단체 ○○○는 “(추가 예정 멘트)”라고 비판했다.

서울시 중부공원여가센터는 “광화문광장은 2022년 재조성 당시 은행나무를 이식해오고 생육을 돕기 위해 강전지를 한 것이며 이후에는 별도의 가지치기 작업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경복궁과 같은 문화유산 주변은 경관 훼손 우려가 있어 무분별한 전정을 할 수 없다”며 “최근에는 외주업체나 서울시 차원에서도 강전지보다는 약전지를 지향하고 있다. 강한 전정은 나무 생육에 좋지 않고 미관상 민원도 많아지는만큼 내부적으로도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