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인터넷신문]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연구개발 전문기관인 농촌진흥청의 승진 관련 현황을 분석한 결과 행정직 승진비율이 더 높고 , 승진할수록 행정직으로 빠지는 비율이 3 배 넘게 폭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연구개발 전문기관으로서 제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연구직에 대한 승진 관련 인사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문금주 의원실 ( 전남 고흥 · 보성 · 장흥 · 강진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이 농촌진흥청으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승진심사 직전 3 년 내 행정부서 근무경력 연구직의 승진비율이 같은 기간 연구에 매진한 연구직보다 4.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사에서 과장 이상으로 승진할수록 전공대로 배치되는 비율도 86.4% 에서 80.9% 로 눈에 띄게 낮아졌다 . 연구개발 전문기관이지만 연구직마저 승진에 유리하려면 행정직으로 빠져야 하고 , 승진할수록 연구 전공과 무관하게 배치되는 비율이 높아져 기관의 연구역량 손실이 우려되는 상황인 것이다 .
실제로 농촌진흥청에서는 많은 연구직들이 승진과 동시에 연구를 그만두고 행정직으로 빠져나가고 있다 . 농촌진흥청의 연구직공무원 직급별 행정인력 비율을 보면 연구사 급에서 13.4% 에 불과했던 행정인력 비율이 연구관 급으로 승진하면 37.2% 까지 치솟았다 .
농촌진흥청은 연구에 전념에 성과를 낸 인원들이 원활히 승진할 수 있도록 인사규정상 ‘ 특별승진제도 ’ 를 두어 승진 임용 예정인원의 30% 를 승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 활용실적은 절반에도 못 미쳤다 .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 년 ~2024 년 특별승진제도를 통한 승진 인원은 13 명으로 , 특별승진 가능 인원인 33 명의 39.4% 에 불과했다 .
문금주 의원은 “ 일정 연차 이상 연구개발 역량이 쌓여도 승진을 잘 하려면 연구를 그만둬야 하는 것이 현실 ” 이라며 “ 연구개발 전문기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특별승진제도 활용 실적을 80% 까지 끌어올리는 등 인사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 고 지적했다 .


![[2025 국감] 아동권리보장원, 자립준비청년 채용 '0명'…우대 전형 '무용지물'](https://img.newspim.com/news/2024/10/21/241021135132267_w.jpg)
![[2025 국감] 농식품부·해수부 일반직 성과상여금 '172.5%' vs 공무직 '0%'](https://img.newspim.com/news/2025/01/08/2501081009544800.jpg)

![[2025 국감] 복지부 노인 일자리 사고·입양기록물 관리 질책 예고](https://img.newspim.com/news/2025/10/28/251028084016042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