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1348억 과징금, 기업 보안 투자 '낭비' 인식 전환 요구

2025-08-28

SK텔레콤에 부과된 1348억 원 규모의 과징금은 단순한 기업 제재를 넘어 우리 사회 전체에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중대한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처분은 지난해 카카오에 부과된 151억원 벌금과 비교해 약 9배에 달하는 역대 최대 규모이며 구글과 메타가 고객 개인정보 무단 활용으로 받은 1000억 원 과징금을 뛰어넘는 금액이다. 이처럼 과징금 액수가 크다는 것은 그만큼 SK텔레콤의 보안 관리 소홀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번 사고는 국내 1위 기간통신사업자인 SK텔레콤에서 2300만명이 넘는 국민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대형 사건으로 이어졌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의 조사 결과 SK텔레콤은 기본적인 보안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으며 해커의 침입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도 미흡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서버 내 계정 정보가 암호화 없이 평문으로 저장됐고 운영체제 보안 업데이트도 무려 9년간 이뤄지지 않는 등 심각한 관리 부실이 확인됐다. 핵심 인증 정보인 '유심 인증키' 역시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되어 해커가 이를 쉽게 탈취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점은 충격을 더한다.

더욱이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조차 인프라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은 기업 내부의 보안 의식과 관리 체계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를 넘어 개인정보를 대량 보유한 기업들이 보안 투자를 비용으로만 인식하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다.

정보보호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AI 시대를 맞아 보안 투자를 '낭비'가 아닌 '필수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는 경종이라고 입을 모은다. 한 보안업체 관계자는 "보안은 단기간 수익을 내지 못한다고 무시되기 쉽지만 이번 사고는 보안 투자를 소홀히 했을 때 기업과 고객 모두가 감당해야 할 대가가 얼마나 큰지를 명확히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도 "개인정보를 다루는 기업은 보안 예산과 인력을 '비용'이 아닌 경영의 중요한 축으로 인식해야 한다"며 "데이터 경제 시대에는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CPO)와 전담조직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부 역시 이번 사건을 계기로 개인정보 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제도 개선과 인센티브 개편을 포함한 종합 대책을 마련해 다음 달 초 발표할 계획이다. 이 대책은 산업계 전반에 예방적 보호 조치를 확대하고 보안 투자를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이번 SK텔레콤 과징금 처분은 우리 사회가 개인정보 보호에 얼마나 엄격히 대응해야 하는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아울러 기업들이 보안 투자와 관리 체계를 강화하지 않으면 미래에 더 큰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경고를 명확히 전달하고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