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부 장관 "일본, 조선·해운 합쳤다 경쟁력 잃었다"…해수부 이관 '반대'

2025-07-21

"물하고 연관 있다고 합친다는 것 맞지 않아"

"일본 사례 타산지석" 반대 입장 분명히 밝혀

기후에너지부 '밀실 논의' 지적에 "긴밀히 논의"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일본에서 조선업이 해운하고 합쳐진 적이 있다"면서 "결국 일본이 조선에서 경쟁력을 잃게 된 이유"라고 제시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 이후 기자들과 만나 "물과 연관이 됐다고 해서 해운과 (조선을)합친다는 것은 맞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 "조선산업, 복합적인 성격 강해…일본 사례 타산지적"

해양수산부가 새 정부 들어 해양정책을 강화하면서 산업부 소관인 '조선 업무'를 해수부로 이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장관이 '조선 업무 해수부 이관' 문제와 관련해 장관 후보 시절 '우려'를 표명하기는 했지만, 산업부 장관으로서 반대의 뜻을 분명하게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조선산업은 해운보다는 오히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계, 소재, 디지털, 이런 산업과 복합적인 성격이 강하다"면서 "그런 면에서 논의가 일부 있는 것은 알고는 있는데 굉장히 신중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일본) 사례들이 일종의 타산지석 같은 사례가 아닐까 생각한다"면서 "최종 결정은 아마도 국정기획위원회에서 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 "기후에너지부 대통령 공약…국정위와 긴밀히 논의"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서는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국정기획위원회가 정부 조직개편을 추진하고 있는데, 공론화되지 못하고 밀실 논의를 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국정위와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기후에너지부는 (이재명)대통령 공약 사항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해야 된다는 정책적 모멘텀이 필요하다"고 전제했다.

이어 "에너지와 통상과 우리 부 차원에서 산업과 어떻게 연계할 지 국정위와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다"면서 "조직개편이 되니 안 되니부터 논의 중"이라면서 "결과를 한번 봐 달라"고 말했다.

더불어 "중요한 것은 우리 부(산업부)가 잘 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잘 되는 게 중요하다"면서 "그런 관점에서 혹시 도움이 필요하면 허심탄회하게 도움을 구하겠다"고 설명했다.

◆ "방미 일정 조율중…협상력 제고하기 위한 것"

김 장관은 또 향후 방미 계획에 대해서는 "지금 조율중"이라면서 "내일(22일) 정도면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여한구 통상본부장이 협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협상력이 분산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분산보다는 협상력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통상본부장이 할 수 있는 커버리지가 있고 저나 부총리가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어서 그런 부분들을 협상력을 오히려 제고시키기 위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dream@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