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중국이 지난 29일 열린 한중 상무장관회의에서 자국산 철강재에 대한 한국 측의 무역구제 조치를 거론하며 우려를 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중국산 저가 철강재의 국내 유입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해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어 중국·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해서도 저가 공급에 따른 국내 산업 피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덤핑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산업부 관계자는 30일 언론 브리핑에서 "3국 경제통상장관회의를 계기로 양자 회담(한중·한일)이 열렸고, 이 과정에서 사전 의제 조율을 통해 중국산 철강재에 대한 한국 측의 무역구제 절차가 논의됐다"며 "중국 측은 회의에서 이에 대해 관심을 전했다"고 말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이와 관련, "공정하고 투명하게 객관적인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모든 이해관계인의 방어권을 보장하고, 조사 절차가 공정하게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측의 이 같은 발언은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열린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3국 장관은 최근 흔들리는 글로벌 통상 질서 속에서 자유무역주의와 다자무역주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 같은 기조 속에서 중국은 한중 장관회의에서도 중국산 철강재에 대한 한국의 제재를 보호무역주의의 일환으로 보고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보도자료를 통해 전날 서울에서 열린 한중 상무장관회의에서 왕원타오(王文濤) 상무부장이 "중국과 한국은 모두 자유무역과 다자주의의 수혜자이자 수호자"라며 "지역 및 다자 틀 안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의 조속한 재개를 추진해 다자무역체제를 공동 수호하고 지역 경제통합을 촉진해야 한다"고 발언했다고 전했다.
wise@yna.co.kr(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