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가들과 함께해온 서울숲 '아뜰리에 아키'의 15년,특별전으로 본다

2025-11-06

15주년 기념전 'ATELIER AKI: Here and Beyond'

1,2부로 나눠 내년1월17일까지 서울숲 아키서 개최

동시대 한국미술의 새로운 좌표 확인해보는 자리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지난 2010년 서울 성수동에 설립 이후 동시대 한국 미술가들을 꾸준히 발굴하고 육성해온 아뜰리에 아키(ATELIER AKI)가 15주년을 맞았다.

아뜰리에 아키(대표 김은경)는 지난 15년간 변화무쌍한 국내 미술계에서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좌표를 지속적으로 제시해왔다. 특히 갤러리 오픈 이래 역량있는 동시대 한국미술가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국제 무대에 알리는 작업을 펼쳐왔다. 또한 갤러리 전시를 넘어 다음(Daum), 중국 Powerlong Museum, 현대백화점, YES 24 그리고 TSUTAYA까지 국내외 주요기관 및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예술의 경계를 확장하는 일도 전개했다.

아뜰리에 아키는 15주년 기념전으로 'ATELIER AKI: Here and Beyond'전을 개최한다. Part 1과 Part 2로 나눠 열리는 이번 특별전은 단순한 축하나 기념의 의미가 아니라 갤러리가 걸어온 지난 시간을 점검 분석하고, 앞으로의 비전을 함께 모색해 보는 자리다.

1부 전시에서는 갤러리와 함께 성장하며 미술계에서 탄탄하게 입지를 구축한 작가들을 선보이고, 2부에서는 갤러리와 동행할 유망 작가를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10월 28일부터 11월 29일까지 계속될 1부 전시에는 권기수, 권능, 권대훈, 김승주, 서상익, 윤상윤, 이연미, 정성준, 정수영, 정유미, 채지민, 최영욱 등 12인의 작품이 나왔다.

이에따라 아뜰리에 아키의 이번 'Here and Beyond'전은 갤러리가 일관되게 추구해온 '글로벌 확장성'과 '동시대성'을 집약한 예술적 담론을 보여주는 작가들의 주요 작품을 한 곳에서 음미할 수 있는 기회다. 이를 통해 갤러리가 걸어온 과거와 현재를 잇고, 한국미술의 새로운 비전을 모색하는 자리다.

전시 제목 '여기와 그 너머(Here and Beyond)'는 아뜰리에 아키의 현재의 지점과 그 너머의 가능성을 가리킨다. 동시대 미술이 직면한 현재성과 미래성을 함께 성찰하기 위해 명명한 타이틀이다.

전시를 1부와 2부, 2개의 장으로 나눠 기획한 것은 '과거와 현재의 축적'과 '미래를 향한 도약'을 병렬적으로 나열하기 보다는 각각을 독립적 무대로 설정해 잘 드러내기 위해서다. 이는 관람객이 단일한 시간의 흐름이 아닌 '이중의 시선'으로 동시대 미술을 바라보도록 유도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전시 1부에는 갤러리의 성장에 함께 해오며 이제는 국제 미술계에서 저마다의 입지를 구축한 권기수, 서상익, 이연미 채지민 등 아뜰리에 아키의 상징과도 같은 12명 작가의 작품이 한데 모였다. 이를 통해 한국 미술이 세계 속에서 어떤 공명과 자리를 얻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1부 전시에 참여한 권기수, 권능, 권대훈, 김승주, 서상익, 윤상윤, 이연미, 정성준, 정수영, 정유미, 채지민, 최영욱은 서로 다른 조형언어와 예술관을 바탕으로 한국 동시대 미술의 스펙트럼을 풍부하게 확장해온 주역들이다.

이들의 작업은 내면과 자연, 전통과 현대, 일상과 초월, 구조와 본능,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회화·조각·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시대와 예술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따라서 1부 전시는 곧 아뜰리에 아키가 걸어온 여정의 기록이자, 동시대 한국미술이 세계 속에서 어떻게 자기 언어를 드러내고 공명을 이끌어냈는지 보여주는 집합적 풍경이라 할 수 있다.

2부에서는 각기 미술언어로 새로운 예술의 장을 써 내려가는 유망 작가들의 서사를 살필 수 있다. 즉 앞으로 아뜰리에 아키와 새롭게 동행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다음 흐름을 이끌어갈 작가들을 조명하는 자리다. 저마다의 비전과 상상력이 교차하며 또다른 미학적 장(場)이 펼쳐진다.

이에따라 아뜰리에 아키 15주년전의 1부는 "우리가 어디까지 와 있는가"를 보여주는 집합적 풍경이라면, 2부는 "그 너머로 무엇을 열어갈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탐구의 장이라 할 수 있다.

오는 12월 11일 매각할 2부 전시는 아뜰리에 아키와 함께 동시대 한국미술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할 작가들의 현재적 담론을 심도있게 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7명의 참여 작가들은 자전적 이야기, 감각의 잔상, 불안과 상상, 기억의 재배열, 복제와 고유성, 자아와 관계성 등 복합적인 주제를 각기 고유한 시선과 회화적 언어로 풀어낸다.

아뜰리에 아키 김은경 대표는 "이번 전시를 통해 정서적 공감과 내면의 성찰을 이끌어내는 동시대 한국 미술가들의 탄탄한 작업을 한자리에서 조망하고자 한다"며 "관람객과 예술 사이의 탄탄한 연결점을 모색하고, 다음 세대를 위한 예술의 방향성과 가치를 함께 탐색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숲 갤러리아포레 1층의 갤러리에서 다양하고 풍성한 전시를 꾸준히 선보여온 아뜰리에 아키는 전시 외에도 해외 아트페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우리 작가들의 작업을 널리 알려왔다. 홍콩의 Art Central Hong Kong, 미국 마이애미의 Art Miami, 중국 상하이의 West Bund Art & Design Fair와 ART 021 Shanghai, 인도네시아의 Art Jakarta 등 해외 주요 아트페어에 꾸준히 참가해 유망한 작가들을 세계 무대에 소개함으로써 글로벌 미술 시장에서 단단한 영향력을 구축 중이다.

더불어 Shenyang Museum, Shao Foundation(邵忠基金?), Anna Pao Sohmen Foundation, UOB Group, 박서보 재단,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하나은행 등 국내외 주요 기관컬렉션 및 해외 저변 확대라는 구체적 성과를 이뤄내기도 했다.

김은경 대표는 "아뜰리에 아키는 지난 15년의 여정을 거울 삼아 내일의 예술이 어디로 향해야 할지 진지하게 논의하면서 변화와 혁신, 다양성, 실험정신을 존중하는 아트 허브로서의 또 다른 출발점을 맞고자 한다"며 "동시대 작가들과 함께 예술의 가능성과 확장성을 고심하며, 변함없는 신뢰와 열린 시선으로 현대미술의 미래를 밝히는 선구적 플랫폼으로의 자리를 다져가겠다"고 다짐했다. 1,2부 개관 기념전은 2026년 1월 17일까지 계속된다. 무료관람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