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4일 SK텔레콤,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엔씨 AI, 업스테이지를 인공지능(AI) 기초공사(파운데이션) 국가 드림팀으로 선발해 출항시켰다. 이번 선발된 드림팀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구매 비용을 포함해 데이터 처리·인건비 등 총 2000억원 규모 지원을 받게 된다.
파운데이션 명칭 그대로 이번 선발이 최종 목표는 아니다.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AI 모델에 필적하는 솔루션과 응용모델을 만들기 위해 전면 지원이 주어지는 만큼, 이들에게는 과정별 심사와 탈락의 시험대가 놓여있다.
앞으로 6개월 이내 상용화급 글로벌 AI 모델의 95% 이상 성능을 갖춘 독자형 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한다.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반기마다 가장 저조한 한 팀씩을 탈락시키는 서바이벌 경쟁을 펼쳐 오늘 2027년 최종 2개팀을 가리게 된다.
이들 최종 두 주자에게는 우리나라를 글로벌 AI 3강에 진입시키는 마지막 공격조 역할을 맡기게 된다.
5개 팀은 분야별 강점을 가진 팀들로 짜여졌다. 이 팀 모두가 처음부터 역량을 합쳐, 코리아 AI드림팀으로 역할하게 할 수도 있겠으나 이들 간에도 철저한 속도, 역량 경쟁이 가해져 '최고중의 최고'를 가린다.
글로벌 어느 업체도, 솔루션도 아직 가보지 않고, 상용화해보지 못한 최고의 한국형 AI 모델을 만들어야하는 목적성이 있는 만큼, 그간 국가프로젝트에 있어 왔던 '안배와 균형'을 최소화한 점도 엿보인다. 결국, 실력 경쟁을 통해 가장 잘할 수 있는 기업을 가린다는 의미다.
서바이벌 선발 체계가 그렇듯, 과정에서 발굴된 강점과 아이디어를 살아남은 최종 2곳 주자가 최대한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모습 또한 필요하다. 정부도 이번 과정에서 습득된 AI 관련 기술과 노하우가 최종 한국형 AI모델에 녹아들도록 만드는 정책 노력이 반드시 요구된다.
이와 함께, 이번에 시작된 한국형 AI 프로젝트가 서비스·솔루션 중심의 개발 작업이기 때문에 반드시 확장성을 요한다. 당연히 세계 최고의 반도체 강국에다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는 피지컬AI 분야까지 연계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 분야 정부 역할이 무겁다.
집권 첫해, 할 수 있는 힘이 가장 강력할 때 AI드림팀이 선발, 출항한 것은 국가적으로는 큰 기회이자 강점이다. 다른 나라가 거대언어모델(LLM) AI에 치중해 있는 이때, 우리가 다른 경쟁국이 갖지 못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분야를 파고든다면 3강뿐 아니라 AI 초일류 국가도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