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하의 문학·예술과 생명사상... '김지하를 다시 본다' 출간

2024-12-17

김지하시인추모문화제추진위원회, 학술심포지엄 자료 등으로 엮어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시인 김지하의 문학과 예술, 생명사상을 재조명하는 책 '김지하를 다시 본다'(개마서원)가 세상에 나왔다. 이 책은 지난해 5월 6일~7일 김지하 추모 1주기에 열린 '김지하 추모 학술 심포지엄' 토론 자료를 정리하고 다시 꼭 읽어야 할 김지하의 글을 모아 만든 책이다. 무려 1056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책이다.

1부에는 염무웅, 이부영, 유홍준, 임진택, 임동확, 김사인, 홍용희, 정지창, 채희완, 심광현 등 30여 명이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생명사상'이라는 큰 주제 아래 '김지하의 문학과 예술, 미학', '김지하의 그림과 글씨', '민주화운동과 김지하', '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으로 나누어 주제 발표와 토론을 한 후 정리한 내용과 종합토론을 한 내용을 정리해 놓았다.

2부에는 '김지하가 남긴 글과 생각-생명의 길·개벽의 꿈'이라는 제목으로 김지하가 남긴 수많은 글 중에서 꼭 다시 읽어봐야 할 글을 골라 실었다. 암울한 시대에 수많은 젊은이를 위로하고 힘주었던 글 '양심선언', '나는 무죄이다', 로터스상 수상 연설인 '창조적 통일을 위하여', 환경오염과 기후 위기 등 현시대의 문제점들을 수십 년 앞서서 말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한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 '개벽과 생명운동', 김지하가 자신의 문학에 대해 쓴 '깊이 잠든 이끼의 샘', 김지하가 남긴 생명사상을 살필 수 있는 '생명평화선언', '화엄개벽의 모심' 등이다.

김지하 시인은 50년 전 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선고를 받았고(이는 1974년 11월 18일 한국작가회의 전신인 자유실천문인협의회가 결성된 직접적인 계기가 됨), 동아일보 기자들의 자유언론수호 투쟁 속에 연재된 글 '고행... 1974'가 문제가 돼 다시 감옥에 갇혀야 했던 민주화 투쟁의 상징적 인물이었다.

2022년 김지하 시인이 세상을 떠났을 때 그는 이미 사람들에게 많이 잊혀져 있었고, 그를 아는 사람 중에도 그의 '훼절'에 대한 불쾌한 감정으로 그 이름을 기억에서 떨쳐내려고 하는 사람들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1970년대 이후 탁월한 문학적·예술적·미학적 성취를 이루었고, 백척간두의 정치투쟁에 치열하게 임했다. 또한 누구보다도 앞서 생명운동을 주창한 생명사상가였다.

유홍준(미술평론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은 이 책에서 "김지하는 결국 흰 그늘이 서린 모란꽃을 화사한 채색화로 그리다 세상을 떠났다. 묵란으로 시작하여 묵매로, 그리고 달마도로, 또 수묵산수화와 채색 모란도로 화제를 옮기며 생애 후반, 붓을 놓지 않은 김지하는 실로 위대한 현대 문인화가였다"고 평했다.

염무웅(문학평론가,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은 "그는 횔덜린과 달리 정치투쟁의 일선에서 네 차례나 감옥을 경험하고 죽음의 위험을 통과한 뒤에야 영성과 생명이라는 결정적 화두에 이르렀다. 그 지난한 과정에는 오랜 시간의 가혹한 독방과 치열한 독서와 건곤일척의 사색이 있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책을 기획한 김지하시인추모문화제추진위원회는 시인의 동료·선후배들이 김지하 시인과 시인이 세상에 펼친 뜻, 그리고 사상을 잊지 않고 기리고자 만든 단체이다. 지난 2022년에 시인의 49재 추모문화행사와 2023년에 김지하추모학술심포지엄을 치른 바 있으며, 올해 추모문집 '김지하를 다시 본다'를 발간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oks3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