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중단한 협의회, 조만간 개최
남북 민간교류 재개 방안 논의할 듯
통일부가 윤석열정부에서 중단된 ‘인도협력 민관정책협의회’를 3년 만에 재개한다.
인도협력 민관정책협의회는 정부와 민간이 대북 인도적 협력 사업과 관련한 사안을 조율하는 협의체로, 통일부 차관과 남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회장이 공동의장을 맡는다. 민간 차원의 교류·협력을 활성화해 남북관계에 물꼬를 트겠다는 이재명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9일 세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통일부는 조만간 인도협력 민관정책협의회를 열기로 하고, 관련 세부 사항을 검토 중이다. 앞서 정동영 장관은 지난 4일 북민협 회장단과 만나 협의회 재개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북민협은 1999년 창립된 대북 인도적 지원 단체들의 협의체로, 월드비전·기아대책·국제푸른나무 등 67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인도협력 민관정책협의회는 윤석열정부 출범 첫해인 2022년 9월 운영위원회가 열린 것을 마지막으로 3년 가까이 개최되지 않았다. 정 장관이 이를 재개하기로 한 건, 비정치적 성격의 민간 교류를 통해 장기간 경색된 남북관계 개선의 실마리를 찾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협의회에선 민간 차원의 교류를 재개하기 위한 방안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 민간 교류·협력은 2020년 1월 북한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국경을 폐쇄한 이후 전면 중단된 상태다. 앞서 정 장관과의 면담에서 북민협 회장단은 북한과의 직접 접촉이 어려운 만큼 제3국을 통한 남북 교류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 구성을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면담에서 나온 내용들은 모두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통일부는 다양한 조치를 통해 남북 간 민간 교류 재개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직후 통일부는 인도적 지원, 사회·문화 교류 목적의 북한주민접촉신고를 수리했으며, 민간의 대북 접촉을 제한하던 ‘북한주민 접촉신고처리 지침’을 폐지했다. 또 민간단체들이 북측과의 접촉에 성공해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이 재개되면 남북협력기금으로 이를 지원할 방침이다.
김병관 기자 gwan2@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