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YT "한국정부, 한미동맹 악영향 우려 속 미국과 협상"
WSJ "석방 뒤 자진출국 허용·강제추방 여부 핵심 쟁점"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조지아에서 일주일째 구금중인 한국인 근로자들의 귀국이 미국 측 사정으로 연기되면서 한국 내에서 분노가 고조되고 있다고 미국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이번 사태가 조속히 마무리되지 않을 경우 한미 양국 관계에 큰 걸림돌이 될 가능성에 주목하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어 주목된다.
뉴욕타임스(NYT)는 이 날 미국의 이민 단속으로 체포돼 수감중인 한국인 근로자들의 귀국 지연 소식이 전해지면서 한국 내에서 트럼프 행정부를 향한 불만과 분노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날 조지아주 애틀란타에서 한국 근로자들을 싣고 서울로 출발할 예정이었던 대한항공 전세기의 출발이 미국 측 사정으로 지연되면서 귀국 시점이 불투명한 상태라는 것이다.
NYT는 지난주 조지아의 현대차-LG 배터리 공장에서 이민 단속 요원들이 무장한 채 한국인 근로자들을 수갑과 쇠사슬에 묶어 끌고 가는 장면이 공개되면서 한국 사회는 충격과 분노에 휩싸였다며 최근 며칠 동안 서울의 주한 미국대사관 인근에서 집회가 열려 억류된 한국인 근로자들이 받고 있는 부당한 처우를 비판했다고 지적했다.
한국 정부가 이번 사태가 한미동맹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서둘러 사태 수습에 나섰고, 즉각 협상을 개시해 송환 전세기를 급히 투입했지만 귀국이 지연되고 있다고 NYT는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 날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를 데려오기 위해 한국에서 전세기가 출발한 직후, 한국 정부가 귀환 일정이 당초 예상대로 진행되기 어렵다며 계획을 수정했다고 보도했다. 한국 외교부가 지연 사유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조현 외교부 장관이 워싱턴에서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만나 일주일째 구금 상태인 한국인 근로자들의 조속한 석방과 귀국을 위한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WSJ은 핵심 쟁점이 구금된 근로자들이 미국 정부로부터 자진 출국을 허용받을지 아니면 강제 추방될지 여부라며 추방될 경우 수년간 미국 재입국이 금지되며 자진 출국이라도 비자 규정 위반 사실을 인정하는 조건이 붙으면 재입국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석방이 지연된 배경이 결국 한국 정부가 요구해온 자진 출국 방식에 대해 미국 이민당국과 이견이 생긴 탓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WSJ은 미국 당국은 구금된 한국 근로자들이 불법 입국했거나, 취업이 금지된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이용했거나, 혹은 체류 기간을 초과했을 수 있다고만 밝혔을뿐 어떤 경우에 해당되는지, 구체적인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아시아 기업들이 미국에 잇따라 투자하면서 현지 공장을 가동할 기술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필요한 취업 비자를 제때 확보하는 데 난항을 겪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번 사태가 한국기업에만 국한된 일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dczoo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