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공공 내 민간 클라우드 도입 활성화를 위해 마련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운영 모델(PPP)'이 시행 1년을 맞이한 가운데, 원격지원 체계가 갖춰치며 PPP 도입 목적에 부합하는 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올 들어 주요 공공 시스템이 PPP 입주를 선택한데 이어 PPP를 선택하는 공공이 더 늘 것으로 예상돼 PPP 확대가 본격화될 지 주목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NHN클라우드·삼성SDS·KT클라우드 등 PPP 입주 3개사 가운데 NHN클라우드와 삼성SDS에 이어 최근 KT클라우드까지 원격지원 체계 구축에 들어갔다.
이들 3개사는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자원)이 지난해 7월 시작한 PPP에 순차 입주했다.
입주 당시만 하더라도 PPP가 위치한 국자원 대구센터 내 직원이 상주하며 시스템 구축부터 모니터링 등을 진행했다.
이후 국가정보원 등과 협의를 거쳐 이들 회사 본사에서 원격으로 클라우드 시스템을 운영·관리할 수 있는 원격체계 기반 실시간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말 NHN클라우드가 판교 데이터센터와 대구센터를 행정업무망(국통망)으로 연결해 보안이 갖춰진 원격 체계를 구축했다. 이어 삼성SDS가 상암 데이터센터와 대구센터를 국통망을 연결했으며, 최근 KT클라우드가 목동 데이터센터와 국통망 연결을 추진 중이다.
PPP 도입 1년만에 3개사 모두 원격 지원 체계를 갖추면서 진정한 민간 클라우드 도입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원격 지원 체계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부터 주요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이 원활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 클라우드의 최신 기술을 공공에서 활용하도록 하자는 것이 PPP 도입 취지였다”면서 “민간 클라우드 주요 기술을 PPP에 입주한 공공에서 제대로 누릴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공 내 PPP 확산에 대한 기대감도 커진다.
이미 올해부터 PPP를 선택하는 공공이 늘었다. 정부24, 국토지리정보원, 경기교육청, 중앙보훈병원 등 공공 대표 시스템이 PPP에 구축될 예정이다.
여기에 내년 공공 주요 사업도 PPP 입주를 타진한다. 행안부 '범정부 생성형 AI 공통기반 구현 사업'과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구축 사업'이 PPP를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국정자원 관계자는 “PPP 내 입주하는 공공 시스템이 늘어나면서 단순 시스템 구축뿐 아니라 운영·유지관리 측면도 점차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PPP 안정 운영을 위한 방안도 업계 논의를 통해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용어설명: 정부민간협력형(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클라우드 사업=정부가 보안을 갖춘 클라우드 공간(서버·스토리지 등 구축용)을 제공하고,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는 이 곳을 임대해 해당 기업이 보유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제공하는게 핵심이다. 공공이 보안 걱정 없이 민간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계기를 만드는 게 목표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