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달부터 은행권이 '오픈뱅킹 안심차단 서비스'를 전면 도입한다. 최근 해킹 시도와 정보 유출 사고가 잦아지면서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보안 체계를 한층 강화한다.
은행권에 따르면 전국 주요은행은 11월 말부터 '오픈뱅킹 안심차단 서비스'를 개시한다. 각 은행은 올 상반기 관련 테스트를 진행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준비를 마쳤다. 시중 4대 시중은행을 비롯해 주요 은행들은 이번 주부터 이용자 안내에 나설 계획이다.
오픈뱅킹은 하나의 금융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든 금융기관 계좌를 한눈에 조회하고 이체까지 할 수 있는 서비스다.
2019년 도입 이후 편의성이 크게 부각돼 빠르게 확산됐다. 하지만 계좌 간 연결성이 높은 만큼 한 은행 계좌가 해킹될 경우 연쇄로 다른 은행 계좌까지 피해가 번지는 '도미노' 위험성 문제가 제기돼 왔다. 보이스피싱으로 피해자를 속이거나 해킹 등을 통해 신분증 사진을 확보해 알뜰폰을 개통한 후 오픈뱅킹을 통해 계좌 탐색, 예금을 중도해지하거나 대출을 받아 돈을 가로채는 식이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3월 한 달간 오픈뱅킹공동망을 이용한 계좌이체 등 거래금액은 63조8399억원에 이른다.
이번에 시행되는 안심 차단 제도는 이용자가 직접 은행 애플리케이션이나 금융결제원 '어카운트포' 앱을 통해 원클릭으로 오픈뱅킹을 전면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계좌 등록, 출금 이체, 잔액 조회 등 모든 오픈뱅킹 기능을 차단한다. 긴급 상황에서 개별 은행을 일일이 해제할 필요 없이 한 번 조작으로 전 은행 계좌 연결을 막을 수 있다.
금융위원회 등은 이번 조치로 이미 시행한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에 이어' 보안 3종 세트'를 완성할 계획이다. 금융소비자 스스로가 계좌 관리와 거래를 선제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보안 체계를 마련한 것이다.
은행권 역시 이번 서비스 전면 시행으로 오픈뱅킹 제도 구조적 보안 취약점을 상당 부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공격 시도가 점차 지능화되고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어벽'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은행 관계자는 “금융소비자의 선택권과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해킹 등 외부 위협으로부터 계좌를 보호할 수 있는 종합적 안전망이 마련됐다”면서 “이용자가 통제권 일부를 가지고 구조 사고 발생 시 피해 규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