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대미 고율 관세로 충격을 받은 품목의 국산화 속도를 높이는 한편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관세를 면제하는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29일(현지 시간) 중국 의약품 규제 당국인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이 국유 제약사들에 미국산 의약품 및 원료의 대체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국가위생건강위원회도 대형 병원들에 미국산 의료장비를 중국산 또는 제3국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상 품목은 항체·배양액·혈액제제부터 실험용 시약, 자기공명영상(MRI) 및 초음파 장비, 검사·치료용 소모품 등으로 광범위하다. 이들 품목은 대부분 미국산 수입 의존도가 높아 중국 정부가 미국에 대한 보복관세로 고율인 125%를 부과하자마자 공급망에 충격을 주고 있다. 관세 부과 후 방사선 동위원소 표적 화합물 가격은 두 배로 뛰었고 일부 항체 시약은 하루 만에 4배 가까이 급등했다. GE헬스케어·메드트로닉 등 미국 의료기기 업체 제품에 의존해온 중국 의료기관과 연구소는 대체 품목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단기간 내 미국산 제품을 전면 대체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기술 격차가 여전하다. 중국 당국은 일부 미국산 품목에 대해 조용히 관세를 면제해주며 관세 충격을 최소화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공식적인 유화 제스처 없이 실리를 챙기는 방식으로 관세 면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선별 면세’ 품목은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로이터통신은 30일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미국산 반도체에 이어 에탄(에테인)에 대해서도 125% 추가 관세를 면제했으며 관련 품목을 정리한 ‘화이트 리스트’를 따로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