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의 역사는 축제의 역사다. 오래전부터 인류의 삶 한가운데엔 축제가 있었다. 농경사회에서 풍요를 기원하던 제의(祭儀)는 공동체를 하나로 묶는 의식이었고, 산업화가 진행되며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문화의 장으로 발전했다. 오늘날 축제는 도시가 스스로를 표현하고 시민이 함께 호흡하는 ‘공공의 예술’이자 ‘참여의 무대’로 자리 잡았다.
전주 또한 그 중심에 있다. 가을의 전주는 하나의 거대한 무대가 되어 서로 다른 이름을 가진 축제들이 어우러진다. 책을 읽고, 음식을 맛보고, 음악을 듣고, 공연을 즐기는 다채로운 순간들이 도심 곳곳에서 펼쳐진다. ‘전주페스타’만의 매력적인 풍경이다.
전주의 대표적인 축제들이 ‘전주페스타’로 통합되어 개최된 지 세 번째 해를 맞았다. 올해는 ‘함께 가을’을 주제로 9월부터 10월까지 독서, 한지, 예술, 비빔밥, 막걸리 등 전주의 맛과 멋, 문화를 대표하는 다섯 가지 축제가 차례로 펼쳐진다. 각 축제가 저마다의 개성을 지키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가치와 즐거움을 몇 곱절 빛낸다.
축제는 단순한 행사가 아닌, 한 도시의 역사와 문화, 사람이 이어지는 시간이자 공간이다. 또한 도시를 알리고 지역의 미래를 새롭게 빚어내는 힘을 지닌다. 독일 뮌헨의 옥토버페스트는 맥주라는 지역의 전통을 세계적 축제로 키워내며, 도시의 상징이자 경제를 움직이는 거대한 동력이 되었다. 이처럼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담은 축제는 새로운 도약의 기회이자 세계로 나아가는 문화 자산이 될 수 있다.
‘전주페스타’ 또한 이미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작년에는 약 30만 명이 다녀가며 103억 원의 소비를 창출했고, 올해 페스타의 문을 연 전주독서대전은 평산책방지기 문재인 전 대통령이 방문하는 등 큰 화제를 모으며 4만 5천 명이 찾는 쾌거를 거뒀다. 특히 전주는 K-컬쳐의 원류로서, 전통과 예술문화를 고루 품은 ‘전주페스타’의 지속적인 성장은 세계에 전주의 매력을 널리 각인시킬 기회가 되고 있다.
‘전주페스타’는 10월까지 한지산업대전, 예술난장, 비빔밥축제, 막걸리축제로 이어지며 전주를 설렘으로 가득 채운다.
한지산업대전은 생활 속에서 한지의 다양한 변주를 통해 전주가 가진 문화의 뿌리를 다시금 일깨우고, 팔복예술공장에서 열리는 예술난장은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어 누구나 예술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주를 대표하는 음식문화의 상징, 비빔밥 축제는 인기가수 공연, 홀로그램 쇼 등 화려한 개막공연을 시작으로 올림픽 유치를 기원하는 대형비빔퍼포먼스, 비빔퍼레이드 등 다양한 맛의 향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축제의 마지막은 정겨운 막걸리가 맡는다. 전주의 대표 막걸리 식당들이 참여하는 막걸리 축제를 통해 푸짐한 안주와 함께 막걸리 한 잔 기울이는 낭만적인 가을밤이 펼쳐진다.
사람들은 함께 어울리며 도시의 기억을 쌓아간다. 보고 듣고 먹고 마시는 오감(五感)의 경험이 전주의 이름을 마음에 새겨 넣게 하고, 가을바람이 불어올 때마다 전주를 다시 찾고 싶은 이유가 될 것이다.
특히, 축제라는 특별한 시간 속에 서로의 어깨를 맞댄 순간들은 추억으로 그치지 않는다. 이야기에 이야기를 더하고 경제와 관광이 연계되어 지역 문화산업의 확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함께 가을’, 전주는 지금 축제의 한가운데 있다. 가을빛으로 물든 전주의 축제에 모두 하나 되는 시간을 꼭 함께하시길 바란다.
/윤동욱 전주시 부시장
#기고 #전주페스타 #전주시 #윤동욱 #부시장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