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전형료만 30억인데…‘연대 부실 논술’ 교육부는 뒷짐만

2024-10-15

‘수시 논술시험 유출’ 논란을 일으킨 연세대가 올해 수시모집 전형료로 벌어들인 수익은 30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술 문제 출제와 평가, 감독 비용을 억 단위로 책정해 수험생들에게 6만 원 이상의 전형료 부담을 지우면서도 정작 시험 현장 관리·감독에는 소홀했다는 지적이다. 대학의 집행 예산을 살피고 대입 체제의 공정성 전반을 감독해야 할 교육부도 책임론을 피할 수 없게 됐다.

15일 서울경제신문이 연세대의 ‘2025학년도 모집요강’과 진학사어플라이 등을 분석한 결과 올해 연세대(서울·미래캠퍼스)는 수시 모집에 4만 5866명이 원서를 접수해 총 29억 8218만 원의 전형료 수익을 거뒀다. 수험생 4만 3063명이 수시 원서를 냈던 지난해 전형료 수익(28억 3769만 원)과 비교하면 1억 5000만 원가량 늘었다. 이는 서류 전형 1단계 불합격자에 대해 금액 일부를 반환하는 경우까지 고려한 수치다.

연세대 서울캠퍼스와 미래캠퍼스의 전형료 수익은 각각 24억 344만 원, 5억 7874만 원이다. 이번에 문제 유출 논란을 빚은 연세대 서울캠퍼스 논술 전형은 모집 정원이 355명인데 총 1만 7759명이 지원하면서 11억 5433만 원의 전형료 수익을 올렸다. 수험생들이 전형별로 낸 원서 접수 비는 각각 △학생부교과전형 6만 5000원 △논술전형 6만 5000원 △활동우수형·국제형 9만 5000원 등이다.

교육계는 대학들이 매년 수십 억 단위에 이르는 전형료 수익을 얻고도 수시 전형은 지나치게 소홀하게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수험생들이 대학 수시 원서로 적게는 40만 원, 많게는 50만 원 이상을 쓰면서도 시험지 관리부터 휴대폰 수거까지 허술한 감독 속에서 평가를 받는 상황에 내몰렸다는 것이다. 이달 12일 2025학년도 연세대 수시 모집 논술 시험 문제 내용 일부가 시험 시작 전 인터넷에 올라오고 지난 13일엔 한성대 실기 시험에서 문제지 일부가 뒤늦게 배부돼 수험생들이 큰 혼란을 겪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대학들이 전형료 장사 한다”는 비판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대학들이 전형료 수익을 온전히 수시 전형 운영에 쓰고 있는지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대학은 원서 전형료로 얻은 수익을 학생을 선발하는 데에만 쓰는 게 원칙이다. 교육부가 각 대학에 매년 수시 전형 운영비와 전형료 산정 기준을 공개하도록 한 것도 이 때문이다.

대학 알리미에 따르면 연세대는 올해 논술 전형에 논술 출제(9000만 원)와 논술 평가(1억 3000만 원), 논술 감독(1억 7000만 원), 논술 준비진행(1억 3000만 원) 등을 합쳐 총 5억 2000만 원 이상이 들 것으로 보고 논술 전형료를 6만 5000원으로 책정했다. 하지만 전형료 산정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데다 대학별로 통일된 양식조차 없다. 연세대는 학생 평가 및 선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학교 홍보비용으로 1억 1500만 원을 추가로 적고 이 비용 역시 전형료 산정 근거로 제시했다. 교육부는 각 대학의 전형료 관련 예산 집행 현황을 별도로 모니터링하지 않고 있다. 대학들이 그동안 전형료를 통해 남는 수익이 없다고 밝혀왔는데도 의심의 눈초리가 여전한 까닭이다.

한편 연세대는 이날 대입 논술 문제 유출 사태와 관련해 경찰 수사 의뢰를 위한 법리 검토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연세대 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해달라고 할 계획”이라며 “(전날 온라인상에 유포된) ‘시험지 인증샷’ 유포자도 수사 의뢰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전날 오전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논술 시험지와 문제지 위에 수험표와 주민등록증이 올려진 상태의 사진이 올라왔다. 촬영한 장소는 ‘서울특별시 신촌동’, 촬영한 시간은 ‘토요일 12시59분’이다. 문제의 고사장에서 12시 55분경 시험지가 실수로 일찍 배포된 후 사진을 찍은 것이다. 연세대 측은 지난 13일 밤 “문제지가 배포되기 전에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는 전원을 끈 상태로 가방에 넣도록 했다”고 밝혔지만 반나절 만에 이같은 해명이 무색해지면서 수험생 불만은 더욱 커졌다.

일부 수험생들은 집단소송을 예고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지만 학교 측은 여전히 “재시험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는 ‘대학의 자율성 존중’을 이유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