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12년 간의 표류 끝에 첫 삽을 뜬다. 도로 등 기반시설을 조성한 뒤 2030년대부터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기업과 주민의 본격 입주가 이뤄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국제업무지구 조성을 완료하면 연간 1만 2000명의 고용과 3조 3000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시는 이달 27일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용산서울코어) 기공식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 중심부인 용산의 입지적 잠재력을 극대화해 서울역∼용산역∼한강변 축을 하나로 연결하는 ‘입체복합수직도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초대형 도시개발 사업이다. 약 45만 6000㎡ 구역을 대상으로 도로와 공원 등 부지조성 공사를 2028년까지 완료하고 이후 개별 필지 개발·착공을 통해 이르면 2030년부터 글로벌 헤드쿼터의 입주가 이뤄질 전망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2010년 개발구역지정이 이뤄졌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인해 10년 이상 사업이 멈춘 바 있다. 서울시는 2001년 7월 용산정비창 부지 개발 계획을 발표했고 2006년 코레일이 용산역세권 개발사업 공모에 나섰다. 31조 원을 투입해 111층 규모의 빌딩 건립 등을 추진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와 사업자의 자금력 부족 등으로 사업이 모두 중단됐다. 2013년 시행자의 파산으로 서울시가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시행자 지정 취소와 도시개발구역 지정 해제를 고시하며 사업은 백지화됐다. 서울시는 2021년 코레일과 용산국제업무지구에 대한 공동사업시행 실시협약을 체결하며 사업 재개에 나섰고 이후 개발계획 고시 등을 통해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태평양 본부 등이 모인 업무 중심지로 개발해 서울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최고 100층 수준의 초고층 빌딩들이 들어서는 국제업무존, 오피스·오피스텔·상업 시설 등이 조성되는 업무복합존, 주거·의료·교육 시설 등이 자리 잡는 업무지원존을 조성할 예정이다. 대규모 주택 공급도 이뤄진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주거 시설 6000가구, 주변 정비사업 지원 등을 통해 늘어나는 7000가구를 포함해 총 1만 3000가구의 주택 공급을 추진하기로 했다. 최근 여권 일각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주택 공급 규모를 늘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서울시는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한 범위에서 확대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올해 말 시작될 기반시설 착공 등 개발사업 추진 일정을 고려해 기존 개발계획의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로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국토부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주택 공급 확대 물량을 결정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거 위주의 개발이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미국 뉴욕의 허드슨야드처럼 업무와 주거가 균형 있게 어우러지도록 개발 계획을 보완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 국내 투자] ①2030년까지 사상 최대 규모 125.2조원 투입](https://img.newspim.com/news/2024/10/12/241012064054938.jpg)

![[만화경] K조선 ‘아픈 손가락’ 성동조선](https://newsimg.sedaily.com/2025/11/16/2H0H7S0MUI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