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분기 흑자전환 예상...업황 회복 지연에 불투명
국내외 비효율 공장 매각....대산 공단 NCC설비 통합 논의중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롯데그룹이 신동빈 회장 주재로 1박 2일 사장단 회의를 진행한 가운데, 6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인 롯데케미칼의 향후 사업 재편 방향 및 흑자전환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롯데케미칼은 현재 HD현대오일뱅크와 대산 석유화학산업 단지내 석유화학의 기초 설비인 나프타 분해시설(NCC) 통합 논의를 진행하는 등 사업 재편에 열을 올리고 있다.
증권가에선 올해 4분기 흑자전환 예상을 하기도 했지만, 업황 회복 지연으로 흑자전환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당장 올해 2분기에도 적자가 불가피하고, 연내 흑자전환 여부도 결국 사업 재편의 성과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다.
◆ 올해 4분기 흑자전환 예상...업황 회복 지연에 불투명
17일 석유화학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 주재로 전날부터 1박2일 일정으로 경기도 오산 롯데인재개발원에서 '2025 하반기 롯데 VCM'(Value Creation Meeting·옛 사장단회의)을 통해 '그룹의 중장기 성장 방안'을 논의했다.
롯데그룹은 특히 석유화학 업황 침체로 6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중인 롯데케미칼의 재무구조 개선과 사업 재편 등 위기 대응이 시급하다. 한때 롯데그룹 효자 계열사였던 롯데케미칼은 수 년째 적자가 이어지며 롯데그룹 유동성 위기를 불러오기까지 했다.

지난해 2조원 규모 회사채의 기한이익상실(EOD) 상태에 빠지며 그룹 전체의 유동성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결국 지난해 말 롯데그룹은 그룹 핵심 자산인 롯데월드타워를 담보로 제공하는 초강수를 두며 급한 불을 끄기도 했다.
롯데케미칼은 현재 비주력 해외 공장 매각 및 현금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4월 일본 레조낙 지분 4.9%를 2750억원에 매각했다. 또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지분 49% 중 25%에 대해 주가수익스왑(PRS) 계약을 맺어 65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지난해 10월, 미국 법인 지분 40%를 활용해 확보한 6600억원을 더해 총 1조 3000억원의 유동성을 마련했다.
지난 2월에는 파키스탄 법인을 979억원에 매각했고, 올해 들어 국내 비효율 기초화학 라인을 셧다운하는 등 고부가 사업구조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아울러 HD현대그룹 HD현대오일뱅크와 충남 대산 석유화학단지 내 가동 중인 NCC 설비를 통합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 국내외 비효율 공장 매각...대산 공단 NCC설비 통합 논의 중
이에 따라 6분기째 적자를 내고 있는 롯데케미칼의 연내 흑자전환 여부도 주목받고 있다. 올해 1분기엔 126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1353억원)에 비해서는 적자 규모가 줄었지만, 올해 2분기에도 2000억원 내외의 적자가 예상된다.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매각 등 자산 효율화에 따른 재무 리스크 완화 속에 저유가 기조 및 중국 경기 회복 기대감, 업계 구조조정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과도한 디스카운트는 점차 해소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