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8월 12일 오후 4시1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AI 번역에 기반해 생산된 콘텐츠로, 원문은 8월 11일자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기사입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대형 게임 개발사들의 해외 매출이 상반기에 이어 7월에도 전월 대비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분석업체 센서타워(Sensor Tower)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총 32곳의 중국 게임사가 글로벌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매출 상위 100위권에 진입했으며, 총 매출액은 19억5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글로벌 상위 100위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매출의 34%를 차지하는 수치다. 다만, 해당 데이터에는 중국 내 제3자 안드로이드 채널의 매출은 포함되지 않았다.
7월 한달 간 중국 주요 게임사와 대표 게임들의 매출도 전월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표적으로 텐센트(0700.HK)의 경우 양대 히트작이자 매출 견인의 핵심 주역 왕자영요(王者榮耀)와 화평정영(和平精英)을 비롯해 서바이벌 슈팅 게임인 PUBG Mobile(Player Unknown's Battle Grounds) 등의 주요 게임 매출이 7월에 크게 늘어나며 텐센트 게임의 글로벌 매출을 전월 대비 20% 증가시켰다. 이를 기반으로 텐센트는 중국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글로벌 매출 순위에서 1위를 유지했다.
A주에 상장돼 있는 인터넷 게임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사인 세기화통(世紀華通 002602.SZ)이 보유한 센추리게임즈(點點互動∙Century Games)의 해외 사업도 우수한 성과를 이어갔다.
센추리게임즈가 개발한 '킹샷(Kingshot)'과 '테이스티 트래블즈 : 머지 게임(Tasty Travels: Merge Game)'은 7월 매출이 각각 34%, 52%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센추리게임즈의 전체 매출도 전월 대비 10% 추가 상승했다. 이를 바탕으로 센추리게임즈는 텐센트에 이어 순위 2위 자리를 지켰다.
이밖에 삼칠호오망락과기(三七互娛∙37 Interactive Entertainment 002555.SZ), 길비특(吉比特∙G-bits 603444.SH) 산하의 게임 운영 플랫폼 레이팅게임즈(雷霆遊戲), 거인네트워크(巨人網絡 002558.SZ) 등 다수의 A주 게임 상장사들이 상위권을 유지했다.
넷이즈(網易∙NetEase 9999.HK)와 미호요(米哈遊∙MiHoYo)는 3위와 4위를 차지했다.
넷이즈는 '에기파티(蛋仔派對∙Eggy Party)'의 인기가 회복되며 7월 글로벌 매출이 전달 대비 23% 급증했다. 미호요의 인기작 '붕괴:스타레일(崩壞:星穹鐵道∙Honkai:Star Rail)'은 2025년 들어 월 최고 매출을 기록하며 기업의 7월 전체 매출을 전달 대비 28% 늘리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주식시장에서도 해외 매출의 성장 이슈는 주가에 뚜렷한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해외 시장에서 높은 수익을 거두고 있는 세기화통과 거인네트워크는 올해 들어 각각 약 167%, 133% 상승하여 A주 게임사 중 가장 큰 폭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중국 게임의 해외 시장 진출은 점차 침체기를 벗어나 활기를 띄고 있다.
최근 공개된 '2025년 1~6월 중국 게임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자체 개발 게임이 해외 시장에서 거둔 실제 매출은 95억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07% 증가했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