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100억 원 규모의 대국민 AI(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모두의 경찰관’ 개발을 추진한다. 동네 순찰 강화, 교통단속 요청 등 각종 치안 민원을 경찰서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365일 24시간 AI 챗봇이 즉시 안내·처리해 민원 접근성과 대응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는 구상이다.
경찰청은 24일 정부가 국민 체감형 AI 서비스를 집중 지원하는 ‘AI 민생 10대 프로젝트’에 ‘모두의 경찰관' 개발 사업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2년 간 총 100억 원을 투입해 2027년까지 AI 챗봇 시스템을 개발 및 구축하는 게 골자로, 경찰청이 추진하는 최대 규모의 AI 역점 과제다.
연도별로는 2026년 △치안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및 필요 데이터 확보·정제 △AI 서비스 시제품 개발, 2027년엔 국민신문고·경찰민원24·182·112시스템 등 기존 시스템과 연계한 AI 실증까지 마친다는 계획이다.
생활안전·교통·수사 등 102개 분야에서 발생하는 민원을 담당하는 경찰은 국가 기관 중 가장 많은 민원을 처리하고 있다. 지난해 경찰 관련 민원은 국민신문고를 통해 58만 6000건, 182 콜센터 상담은 178만 건에 달했다. 그럼에도 현재는 간단한 민원도 직접 방문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챗봇이 도입되면 민원 유형을 자동 분류해 즉시 답변하거나 기존 시스템과 연계해 처리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경찰청은 이르면 2028년부터 앱을 통해 방문 없이 간편한 민원 처리가 가능해지고, 5일 이내 민원 처리 비율이 69%에서 85%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원 접수 시 AI가 관련 부서에 내용을 자동 전달하고, 처리 결과를 챗봇이 회신하는 기능도 탑재된다. 경찰서로 정식 민원 접수가 필요하면 ‘경찰민원24’ 내 적절한 창구를 안내해 접근성을 한층 강화한다. 민원 접수 단계에서부터 국민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AI가 유형별 표준 양식에 따라 답변 초안을 작성하면, 경찰관이 이를 직접 검토해 회신하도록 해 업무 효율도 끌어올릴 수 있다.
범죄 피해가 의심되는 상황이면 112 상황실과 즉시 연계해 신고를 유도한다.
AI는 실종경보 문자 해제, 과태료 납부 절차 같은 생활형 민원뿐 아니라 판례 검색·법조 안내 등 형사법 관련 질의에도 답한다. 잘못된 판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막기 위해 경찰청은 수사 매뉴얼·법령 기반 검증 체계도 함께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경찰 내부에선 모두의 경찰관이 본격 도입되면 경찰 인력 운용 효율성도 크게 높아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다른 경찰 관계자는 "AI 챗봇이 단순·반복 민원 처리를 담당하면 경찰이 중요 사건 대응과 국민 안전에 더 집중할 수 있다”며 “경찰 인력 운용 효율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2027년까지 모두의 경찰관 AI 챗봇 개발이 완료되면, 향후 네이버와 카카오 등 다양한 SNS 플랫폼과도 연계해 대국민 편의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한편 경찰청은 AI 전담 부서를 정규 직제화해 AI 사업 추진 역량 강화에 나선다. 현재는 임시 조직이었던 'AI 혁신 TF'를 공식 부서 규모로 직제화해 인력을 늘리고 향후 정부 기조에 맞춰 AI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이다.





![[뉴스 줌인]4년만에 부활한 과기장관회의…범정부 AX 실행력·예산 강화 기대](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4/news-p.v1.20251124.b9083d66ca9c41c9b791980ed9408263_P1.jpg)

![[팩플] "내 세금 왜 많이 나왔어?" 국세청 챗봇에 물어본다…정부, ‘AI 민생 10대 프로젝트’ 추진](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4/e67fdc81-fde9-4474-816d-051b6e9f156a.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