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가치 제고' 힘쓰는 티쓰리, '오디션' 중국 퍼블리싱도 연장

2025-04-22

중국 시장 안착한 '오디션', 20년 IP의 글로벌 저력 다시 입증

자기주식 소각·현금배당 병행…투자자 신뢰 회복 의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코스닥 상장사 티쓰리엔터테인먼트(이하 티쓰리)가 지난해 간판 게임 '오디션'의 해외 매출 증가로 흑자 전환에 성공한 가운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홍민균 티쓰리 대표는 전날 보통주 3만 주를 매수해 티쓰리 지분 1.30%를 확보했다. 홍 대표가 올해 2월 말부터 현재까지 매수한 주식은 총 5만 7,000주로, 티쓰리는 지난 10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보유 중인 자기주식 300만 주(약 43억 5,000만 원 규모)를 소각한 바 있다.

티쓰리는 지난 21일 중국 현지 퍼블리셔인 나인유와 '오디션' 퍼블리싱 연장 계약 체결 소식도 전했다. 나인유는 오디션의 중국 내 서비스를 담당해 온 파트너사로, 지난 수년간 유저 커뮤니티 관리와 운영 안정성 측면에서 티쓰리와 협력 관계를 지속해 왔다.

오디션은 지난 2004년 한국에서 처음 '댄스배틀 오디션'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PC 기반 댄스 게임으로, 같은 해 중국 퍼블리셔 나인유를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현지에서 캐주얼 게임 분야 1위, 중국 최고 온라인 게임상인 '금전당상(金殿堂奖)' 수상, 10대 인기 온라인 게임 선정, 바이두 게임 부문 1위, 중국 문화부 인증 전체 이용가 최고의 게임 선정 등 중국 시장 내에서 다양한 성과를 달성한 바 있다.

현재 오디션은 중국 외 베트남, 태국, 대만, 남미 등 다양한 지역에서도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오디션의 매출 비중은 티쓰리 전체 매출에서 주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티쓰리의 연결 기준 실적은 매출 약 519억 원, 영업이익 139억 원, 당기순이익 126억 원을 기록한 가운데, 이 중 오디션을 포함한 게임 부문이 전체 매출의 약 79%를 차지했다.

홍민균 대표는 "오디션은 지난 20년간 티쓰리와 나인유가 함께 키워 온 상징적인 타이틀이자, 양사의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온 자산"이라며, "이번 계약을 계기로 나인유와의 파트너십을 이어가며, 더 높은 품질의 게임을 유저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티쓰리는 올해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보통주 1주당 60원의 현금배당도 확정한 바 있다. 총 배당금은 약 33억 4,000만 원으로, 티쓰리는 배당 확대를 위해 올해 두 차례에 걸쳐 자본준비금 100억 원을 감액하고 이를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티쓰리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지분 확대도 이어지고 있다. 브이아이피자산운용은 올해 2월 이후 약 100만 주를 순매수한 데 이어 이달 10일 추가 매수를 통해 티쓰리의 지분 6.65%를 확보했다.

한편, 티쓰리는 계열사 티쓰리솔루션과 티쓰리파트너스를 통해 게임 외 디지털 트윈, 스펙트럴 이미징 등의 솔루션 부문을 중장기 성장 사업으로 육성 중이다. 지난해 정기주총에서 '공간정보 솔루션 개발 및 판매', '공간정보(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영상(위성, 항공사진, 초분광영상 등) 처리 및 분석'을 신규 사업 목적으로 추가했다.

티쓰리 측은 "특히 디지털 트윈 산업은 스마트 건설,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이 예상되며, 인공지능(AI), 빅데이터, IoT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활용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스펙트럴 이미징 분야 또한 농업, 환경 모니터링, 생명과학,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머신비전 및 딥러닝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빠른 시장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어 "티쓰리는 디지털 트윈부터 스펙트럴 이미징(초분광 및 다분광 영상), 드론 및 로봇을 활용한 측량 및 자동화 사업까지 산업용 기술 기반의 응용 솔루션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영상 데이터와 AI를 결합한 기술 중심 사업영역을 지속적으로 넓혀 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dconnect@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