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환율이 다음 의제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어 환율 변동에 따른 수출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3일 발표한 ‘트럼프 2기 달러 약세 시나리오 점검 및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 및 제조업 부흥을 위해 달러 약세 유도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보고서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협상과 환율 협정을 연계해 달러화 가치 하락을 유도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예측 불가능한 무역정책은 정책 신뢰도를 저하시켜 통화 협정에 대한 합의 도출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보고서는 주요국 통화 절상을 요구할 경우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며 수출입에 영향이 불가피해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0% 하락하면 수출액은 0.25% 감소하고 수입액은 1.31% 증가한다.
보고서는 환율의 수준뿐 아니라 변동성에도 주목했다. 환율 변동성이 1%포인트 확대될 경우 수출 물량은 1.54%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변동성이 커지면서 불확실성으로 수출기업의 계약 체결이 지연되고 환 헤지(위험 분산)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돼 수출물량이 축소되기 때문이다.
양지원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한 주요국의 통화가치 절하를 막기 위해 미국이 통화 강세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며 “환율 하락에 대비해 통화스와프 확대 등 외환시장 안정장치를 강화하고 수출기업의 환 리스크 관리를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