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국내 바이오·의약산업 육성을 약속했지만, 정작 내년 관련 인력 양성 사업은 축소될 전망이다. 부처별 예산 효율화 과정에서 제약바이오 인력 양성 사업 예산이 다수 삭감된 탓이다. 바이오헬스 인재 11만명 양성 목표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8일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내년 예산안 효율화·정비 내역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아카데미,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의료기기산업 경쟁력 강화(전문인력 양성), 제약산업 육성지원(전문인력 양성) 사업 등이 지출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됐다. 이들 8개 사업의 올해 예산 규모는 총 319억7500만원이었는데, 내년 정부안에는 94억8800만원 편성됐다. 올해 예산의 70% 이상인 224억8700만원이 줄어든다.
복지부는 사업 우선순위 조정을 예산 편성 조정 이유로 들었다. 인공지능(AI) 인재 양성 사업이 올해 54억원에서 내년도 205억원으로 네 배 가까이 늘고, 의사과학자 양성 지원 사업에는 의과대학·이공계대학원 간 공동학위·공동연구 프로그램이 신규 추진되는 등 이번 삭감이 상쇄되는 측면이 있다.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예산 규모가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하는 등 초격차 기술 확보에도 대거 투자한다.
그러나 업계는 정부가 2023년 4월부터 공언한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11만명 양성 달성을 위해선 기존 사업의 동력 역시 잃어선 안 된다고 지적한다. 올해 도입한 바이오헬스 아카데미 사업이 대표적이다. 바이오헬스 아카데미 사업은 민간 기업과 연구소, 대학 등이 컨소시엄을 꾸려, 기업 실무에 맞는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이 사업은 참여 대기업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올해 사업 시행이 지연됐다. 이어 올해 기존 예산 20억원이 전액 삭감됐다. 기업 수요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해 신설한 사업이 1년 만에 사라지는 것은 아쉽다는 지적이다. 이 밖에 대학원생 대상 실무 교육을 진행하는 의료기기산업 전문인력 양성 사업, 약학대학생의 인허가·공정·품질 개발 등을 교육하는 제약 전문인력 양성 사업 예산이 내년에 마련되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 5일 바이오 혁신 토론회에서 발표한 'K-바이오 의약 산업 대도약 전략'에 현장 실전형 인력 11만명 양성을 다시 언급했다. 발표에는 AI-바이오 융합 전문인재 연 1720명, 바이오생산 공정인력 2000명, 규제과학 인재양성 총 3000명 등을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했다.
한 제약바이오기업 관계자는 “신약 개발 과정에서 AI 등 기술이 확대되고 있지만 우수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인증, 공정개발, 인허가 등은 여전히 인재 확보가 시급한 분야”라면서 “기업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재 양성 프로그램은 여전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