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들이 아시아 시장 중심으로 인공지능(AI)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무슨 일이야
SK텔레콤은 글로벌 일정 공유 플랫폼 기업 타임트리와 AI 에이전트 서비스 개발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타임트리는 2014년 일본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동명의 일정 공유 플랫폼 앱 ‘타임트리’를 운영한다. 타임트리 앱은 전세계 약 6700만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SKT는 지난 5일 일본 도쿄에서 타임트리와 양사 협력을 위한 투자 계약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SKT는 타임트리에 22억엔(약 206억원)을 투자하고, 이를 통해 한국에서 일본으로 AI 에이전트 서비스 생태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SKT는 에이닷으로 축적한 AI 에이전트 기술력과 상용화 역량을 타임트리에도 적용한다. SKT 측은 “타임트리 서비스를 고객이 입력한 정보 기반으로 일정을 관리하는 수동적 역할에서, 고객의 일정 및 사용 패턴, 선호도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활동이나 이벤트를 추천하는 능동적 AI 서비스로 진화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게 왜 중요해
최근 통신사들은 자사 개발 AI를 들고 해외 시장 개척에 공 들이고 있다. 특히 아시아 시장은 아직 주도적인 AI 기업이 없으나, 인구가 많아 잠재적 AI 수요가 큰 시장이다. 앞서 SKT는 일본 도쿄에서 지난 5일 ‘K-AI 얼라이언스’ 글로벌 밋업도 개최했다. K-AI 얼라이언스는 SKT가 2023년 2월 글로벌 AI 시장 공략을 목표로 국내 대표 AI 기업들과 결성한 연합체다. 밋업은 일본 주요 기업과 벤처캐피털(VC)을 대상으로 K-AI 얼라이언스 멤버사들의 투자를 유치하고 사업 협력 접점을 확보하기 위해 진행됐다.
KT 역시 지난달 12일 베트남 국영 통신 기업 비엣텔 그룹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베트남 국가 AI 전략 수립에 나서는 것을 목적으로 협약을 체결했다. 베트남 고유 언어와 문화, 행정 환경을 학습한 국가 범용 AI 언어모델을 공동으로 개발한다. LG유플러스도 MWC(모바일월드콩그레스) 2025 행사에서 중동 최대 통신사 ‘자인그룹’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익시오를 수출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는 자체 개발한 소형언어모델 익시젠도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아마존 베드록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선보였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등을 이미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인프라에 앞선 통신사가 AI 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