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상단의 버튼 하나만 누르면 채팅 중에도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주변 맛집 찾아줘" "비오는 날 추천 노래 추천해줘" 같은 요청에는 '카카오맵·멜론' 등 카카오 플랫폼과 연동해 최적의 답변을 제공한다. 내년 1분기에는 대화의 맥락을 파악해주는 AI인 카나나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는 28일 경기 성남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카카오 프레스 싱크업 데이'를 열고 '챗GPT 포 카카오'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챗GPT 포 카카오는 오픈AI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한 서비스로, 카카오 플랫폼 및 다양한 서비스를 오픈AI의 최신 모델인 GPT-5와 결합한 기능이다.
챗GPT 포 카카오 업데이트는 최신 버전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날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회사 측은 이날 중으로 업데이트를 마친다는 목표다. 해당 기능은 채팅 탭 상단에 위치한 '챗GPT' 버튼을 클릭해 바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챗GPT의 답변을 채팅방에 공유하거나, 채팅방에서 대화 중 챗GPT에 손쉽게 질문할 수도 있다.
챗GPT 포 카카오는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되는 AI에이전트인 'Kakao Tools(카카오 툴즈)'를 통해 더 다양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예컨대 ▲"노래를 추천해줘" ▲"맛집을 추천해줘"하면 각각 멜론과 카카오맵 앱과 연결돼 원하는 답변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플랫폼 성과 리더는 이날 "카카오톡에서 챗GPT를 언제든지 불러 사용할 수 있고, 이는 카카오톡 대화방에도 즉시 공유할 수 있다"며 "사용자는 복잡한 메뉴 탐색을 줄이고 애플리케이션(앱) 간 연결 경험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부 서비스 추천도 추후 가능해질 예정이다. 유 리더는 "챗GPT 포 카카오를 출시하기 위한 준비시간이 좀 짧았기 때문에 카카오 그룹사 위주의 서비스를 먼저 오픈했다"며 "외부 서비스의 경우에도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서비스의 가장 큰 차별점이은 챗GPT 서비스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 리더는 "챗GPT 포 카카오의 가장 큰 장점은 별도의 앱을 따로 설치하거나 전환하지 않아도 되는 접근성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존에는 업무용으로 전문화된 챗GPT 이용 패턴에서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가볍게 물어보거나 궁금한 것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정보를 찾는 용도로 확장되는 만큼 사용자층도 다양하게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나나의 카카오톡 도입 계획도 밝혔다. 카나나는 대화를 이해하고, 이용자의 상황과 맥락을 파악해 필요한 순간 먼저 메시지를 보내주는 AI 서비스다. 카카오는 지난 16일부터 진행한 베타테스트를 마친 뒤 피드백을 반영해 내년 1분기 중 정식 서비스로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강지훈 카카오 AI 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대부분 AI 서비스들은 대화형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는데 카카오는 카카오톡에서 사람들의 대화에 참여하거나 먼저 말을 걸어주는 형태로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광고용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에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의 선물하기 추천 기능은 개인화 영역에서 선물을 추천하는 기능으로 이용자 편의성을 위한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광고 제품을 추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댓글 부대' 사라질까… 네이버 '악성 댓글 지수' 도입 [디지털포스트 모닝픽]](https://www.ilovepc.co.kr/news/photo/202510/56539_154965_564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