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당사국인 캐나다에서는 맞불 관세에 나서야 한다는 강경한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 직후 소셜미디어 엑스(X)에 “이제 캐나다는 강력하게 반격할 수밖에 없다”며 “미국이 필요로 하는 니켈과 같은 주요 광물, 에너지, 전기, 우라늄, 알루미늄 등을 최대한 활용해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니엘 스미스 앨버타주 주지사는 페이스북에 성명을 올리고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실망했다”며 “이 결정은 캐나다인과 미국인 모두에게 피해를 줄 것이고, 양국 간의 중요한 관계와 동맹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이제는 주요 고객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 된다”며 “우리의 정치 및 무역 관계를 전 세계로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캐나다 상공회의소도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를 비판했다. 상공회의소는 “충격적인 관세 부과 결정은 캐나다와 미국 양국 국민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모든 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남쪽(미국을 지칭)과 무역할 수 없다면 우리의 교역 파트너를 다양화하고 내부의 불필요한 장벽을 없애 상품과 서비스가 북쪽으로, 동서로 퍼지게 하자”며 “강력하고 단합되고 경쟁력 있는 캐나다 경제는 어떤 역경이 오더라도 번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바스코샤주는 미국 기업에 대한 맞불 조치를 예고했다. 팀 휴스턴 주지사는 미국 기업의 주정부 조달 참여를 제한하고 기존 계약도 취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2월 3일부터 미국에서 출발하는 상용차에 대한 고속도로 통행료를 2배 인상하고, 4일부터는 미국산 주류 판매를 전면 중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