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관세압박 ...美공화 의원들, 품목별 관세인상 로비

2025-08-25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잇달아 확대하는 가운데, 공화당 의원들이 지역 제조업체 보호를 명분으로 맞춤형 관세 부과를 요구하며 발맞추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의원들은 관세를 통한 산업 보호가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는 데 효과적이라는 논리를 내세우며 백악관 로비를 강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12명 넘는 공화당 의원들이 지역 산업 보호를 이유로 새로운 관세 부과나 기존 관세 인상을 요구했으며, 이 가운데 일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요청을 수용했거나 백악관 측으로부터 긍정적인 신호를 받았다고 전해졌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 19일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 407개 품목에 대해 50% 관세를 새로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오하이오 출신의 버니 모레노 상원의원은 세탁기·냉장고 등 철강 관련 제품을 관세 대상에 포함해달라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하이오는 미국 가전업체 월풀이 본사를 둔 지역이다.

펜실베이니아의 마이크 켈리 하원의원 역시 지역 내 클리블랜드클리프 공장을 보호하기 위해 전기강판 적층재와 코어에 대한 관세 강화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앨라배마주의 토미 투버빌 상원의원은 목재 캐비닛에 최소 60% 관세 부과를 요구했고, 같은 지역의 케이티 브릿 상원의원과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조 윌슨 하원의원도 목재 제품에 100% 관세를 촉구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측 불가능성'을 무역 협상의 무기로 내세우지만, 실제 정책 결정 과정에서는 가까운 측근이나 친(親)트럼프 성향 의원들의 요청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한다. 매슈 포스터 아메리칸대 교수는 "트럼프는 마지막으로 대화한 사람의 입장을 증폭시키는 경향이 있어, 가까운 측근들이 청탁할 경우 곧바로 정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공화당 내부에선 조용한 '거리두기' 움직임도 감지된다. 존 커티스 상원의원(유타)은 지난 4월 지역 기업인들에게 "관세가 산업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트럼프의 상호관세 권한을 제한하는 결의안에 찬성하겠다고 했지만, 공화당 지도부 압박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의 설득 끝에 최종 표결에서는 반대표를 던졌다.

미시간의 리사 맥클레인 하원의원과 펜실베이니아의 라이언 맥킨지 하원의원도 이달 초 알루미늄 분말 제조사 암팔을 방문한 자리에서 비공식적으로는 "관세가 외국 경쟁사에 이익을 주고 있다"는 지적을 들었지만, 공식 기자회견에서는 "전환기적 상황"이라고만 언급했다.

WSJ은 "공화당 의원들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공개적으로는 침묵하거나 지지하지만, 비공식 석상에서는 지역 기업들의 부담과 정치적 위험성을 인정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wonjc6@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