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SNS 계정, 문서, 암호화폐에 이르기까지 고인의 일생이 기록된 디지털 유산에 대한 인지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제도 마련 이전에 사회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3일 전자신문이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디지털 유산 개념에 대해 알고 있는 응답자는 높지 않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고인이 생전에 온라인이나 휴대폰 등 디지털 공간에 남긴 흔적'을 의미하는 디지털 유산에 대해 65.6%는 '모른다'고 답했다.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 중에서는 40대가 42.1%로 가장 높고, 50대가 27%로 가장 낮았다.
디지털 유산을 가족에게 양도하는 것에 대해 63%는 찬성, 37%는 반대했다. 반대하는 비중은 특히 20대 그룹에서 47.6%로 전체 응답 대비 유의미하게 높았다.
디지털 유산 상속을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추억과 기억의 보존을 위해서'가 꼽혔다. 40대는 '법적 문제 해결을 위해(상속 및 채무 등)'를 꼽는 비중이 32.6%로 전체 응답 대비 유의미하게 높았다.
상속을 반대하는 이유로는 '프라이버시 침해가 우려되어서'가 35.4%, '잊혀질 권리를 위해'가 24.1%를 차지했다.
본인의 디지털 유산을 어떻게 처리하고 싶냐는 질문에 '가족에게 일부 공개'를 꼽은 응답자는 31.5%로 가장 높았다. 특히 20대의 37.9%가 이를 선택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다만 '일괄 폐기' 응답자 또한 24.9%를 차지했다.
가족의 디지털 유산을 어떻게 처리하고 싶냐는 질문에도 역시 '가족에게 일부 공개'를 꼽은 응답자가 31.6%로 가장 많았다. 20대는 '가족에게 일부 공개'가 39.3%로 전체 응답 대비 높았다.
디지털 유산 이관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돼야 할 부분은 '고인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54.8%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20대의 64.6%가 이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의 응답에서는 21.4%가 '디지털 유산 처리 방식'이 중요하다고 꼽았다. 반면 전체 응답자 중 '디지털 유산 처리 방식(공개·이관·보존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8.3%로 낮은 편에 속했다.
유산 미지정 시 서비스 또는 플랫폼 기업이 임의로 이관해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디지털 유산은 무엇인지에 대한 응답으로는 '사진 및 동영상'이 32.3%, '온라인 계좌 및 금융 자산 접근 권한'이 32%, '지인 연락처'가 31.6%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20대 응답에서는 '사진 및 동영상'이 26.2%로 전체 응답 대비 낮고 '게임 계정'이 21.8%로 전체 응답 대비 높았다. 반면 40대 응답에서는 '사진 및 동영상'이 40.7%로 전체 응답 대비 높았다.
박소영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디지털 사회적, 경제적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유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됐다”며 “디지털 유산의 유형이 다양한 만큼 유형별로 세분화해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지혜 기자 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