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포집 전략, 글로벌 불평등 심화 우려

2025-02-05

[이미디어= 황원희 기자] 이산화탄소(CO2) 포집 및 저장(CCS) 전략이 기후 변화 대응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가운데, 일부 국가의 CCS 정책이 오히려 글로벌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 학술지 커뮤니케이션 어스&환경(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일부 국가들은 자국 내 이산화탄소 저장 가능성을 충분히 평가하지 않은 채 탄소 배출 저감 목표에 이를 포함시키고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불균형이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경제적 혜택이 특정 국가에 집중되면서 국제적인 불평등을 확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글래스고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교와 지오사이언스 바르셀로나(GEO3BCN-CSIC) 연구진은 각국의 CCS 전략을 분석한 결과, 탄소 저장 기술 개발이 선진국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연구 공동 저자인 젠 로버츠 박사(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는 “우리는 각국이 파리협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CO2 저장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계획인지 조사했다”며 “이 기술을 구현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2050년 이후를 대비한 장기적인 전략 분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후안 알칼데 박사(지오사이언스 바르셀로나)도 “현재 CCS 기술 도입 수준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며 “역사적으로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한 고소득 국가들이 탄소 관리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불균형은 CCS 기술의 비용 부담과 혜택이 누구에게 돌아가는지를 둘러싼 형평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 CCS 기술의 대규모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해 왔다. CCS는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CO2를 포집해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막거나, 대기 중 CO2를 직접 제거해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진은 CCS 기술이 기후 변화 대응의 핵심 전략이 되려면 공정한 정책 설계와 자금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탄소 저장 기술을 개발하는 국가는 기후 목표를 더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 관리 시장에서도 경제적 이점을 선점할 수 있다”며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한 강력한 정책과 공정한 지원 체계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CCS 전략은 기후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이미디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