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용자 10명 중 8명 “전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해야”

2025-10-28

무단 소액결제·해킹 사태가 일어난 KT 이용자 10명 중 8명이 전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서울YMCA 시민중계실이 KT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공개한 ‘KT 불법 소액결제 해킹 사건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1.7%가 “전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4.5%에 그쳤다. 시민중계실은 “이용자 신뢰 붕괴 수준”이라며 “KT 이용자 대다수가 적극적인 보호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은 정부도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KT의 무단 소액결제 사태는 8월 중순부터 9월 초순까지 경기 광명·서울 금천 등에서 피해 사례가 잇따르며 불거졌다. 지금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368명, 피해액은 2억4000만원이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에 접속돼 가입자식별정보(IMSI), 단말기식별번호(IMEI), 전화번호 등이 유출된 이용자는 2만2000여명에 달한다. KT는 지난 21일부터 소액결제·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한해 위약금 면제와 유심 교체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피해가 드러난 이들에 한정한 조치에 대해 이용자 불만이 높다. 응답자의 72.6%는 “전체 고객에게 별도의 보상이나 조치를 하지 않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또 “KT 해지를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은 위약금”이라는 응답은 70.9%, “KT가 안전한 통신서비스 제공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80.9%로 나타났다.

시민중계실은 “KT는 10월21일 국정감사에서 전 고객 대상 유심 교체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으나, 일주일이 지난 현재까지 아무런 후속 조치가 없다”며 “국민의 관심이 사그라들기만을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어 “KT 이용자 다수가 요구하는 전 고객 대상 유심 교체와 위약금 면제는 필수 서비스 제공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묻는 요구”라며 “KT가 이를 엄중히 받아들이고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