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생활은 편리해졌지만 사이버범죄도 함께 급증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사이버범죄는 2018년 14만9604건에서 2022년 23만355건으로 크게 늘었다. 경찰대학에 따르면 올해 1∼9월 사이버범죄 발생 건수는 약 18만2000건이다. 사이버범죄는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노인 등 디지털 약자일수록 취약하다. 경찰청을 통해 주의해야 할 디지털 범죄 유형과 예방법을 알아봤다.
◆정부 사이트로 위장…사기 범죄 주의=충북 영동에 사는 60대 김모씨는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던 중 ‘정부에서 제공하는 특별 보조금 신청 바로가기’라는 광고를 발견했다. 링크를 누르니 정부 사이트였고 연령대가 맞으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해 김씨는 주민등록번호, 예금계좌 번호, 인증번호를 입력했다. 한참 후에야 자신의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간 것을 알게 된 그는 정부 사이트처럼 꾸민 가짜 사이트에서 사기 피해를 입은 것을 알게 됐다.
이는 대표적인 피싱 사기다. 피싱은 ‘개인 정보(Private Data)’와 ‘낚시(Fishing)’를 합성한 신조어로 개인정보를 낚는다는 의미다. 최근 피싱 사기는 그 수법이 더 교묘해졌다. 예를 들어 김씨 사례처럼 정부 기관을 사칭하거나 ‘카카오톡’ 등 메신저로 지인 또는 타지에 있는 자녀를 사칭해 송금을 요구한다. 명의 도용이나 정보 유출 등으로 피해자를 위협한 다음 개인정보를 알아내는 방법도 있다. 이같은 사이버 사기는 2022년 기준 전체 사이버범죄의 67.6%를 차지할 정도로 피해가 크다.
요즘은 비트코인 같은 가상자산을 활용한 범죄 피해도 늘었다. 허위 투자 사이트로 피해자를 유도해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투자자를 모집한다는 명목으로 돈을 받고 잠적하는 게 주된 수법이다. ‘주식 리딩방(투자 종목을 추천해주는 채팅방)’이라면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돈만 갈취하는 일도 있다. 중고나라·당근마켓이나 번개장터, 포털사이트 카페 같은 온라인 중고거래 누리집을 활용할 때도 주의해야 한다. 비대면 거래라는 점을 악용해 서로 신뢰하기 위해 주민등록증을 교환하자고 제안한 후 개인정보만 빼앗거나 물건을 보내지 않고 돈만 받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 주의를=사이버 범죄를 예방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쉽고 간단하다. 일단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를 클릭하지 않는다. 정부 기관이나 은행으로 속인 링크는 사이버 범죄에서 흔한 수법이다. 해당 기관 공식 누리집을 통해 직접 접근하는 것을 생활화한다. 중고거래를 할 때는 먼저 ‘더치트’ 누리집에서 상대 계좌번호와 휴대전화 번호를 검색해 사기범인지 알아본다.
메신저로 지인이나 자녀·부모가 송금을 요청하면 반드시 다시 전화해 본인이 맞는지 확인한다. ‘카카오톡’ 메신저나 중고거래 채팅으로 주민등록증이나 통장 등 개인정보를 함부로 전송하지 않는다. 비밀번호 역시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한다. 잘 잊어버린다고 남들이 보는 곳에 비밀번호를 적어두는 일은 지양한다. 솔깃한 조건을 내걸며 저금리로 대출을 전환해준다거나 믿고 투자하면 큰돈을 벌 수 있다는 등의 광고에도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
한편 남의 사진이나 콘텐츠를 내려받아 무단으로 활용하거나 불법 성인물을 보는 것도 사이버 범죄라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이런 범죄는 적발된 후에 “몰랐다”고 억울해하는 일이 많은데 강력한 처벌을 받을 수 있는 중범죄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피해 사실을 빠르게 신고하고 주변에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어르신은 사기를 당한 이후에도 자식에게 피해를 주고 싶지 않아 속은 자신을 책망하며 숨기는 일이 많다.
경찰청 관계자는 “최근 사이버 범죄는 고도화·복잡화돼 디지털에 익숙한 사람도 사기당하기 쉽다”며 “그중에서도 어르신은 일상에서는 연륜이 있지만 디지털 세상에선 약자일 수밖에 없어 가족 등의 지속적인 관심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준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