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협이 오는 6월 3일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치권과의 현안 소통을 위해 잰걸음을 옮기고 있다.
3년 전 대선에서 다각도의 의제들을 각 후보 캠프에 제시해 채택되는 성과를 낸 만큼 이번 대선에서도 치과계의 민의를 반영한 현안들을 들고 보다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의지다.
박태근 협회장은 지난 4월 28일 오전 국회에서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김미애 의원(부산 해운대구을)을 만나 간담회를 갖고, 치과계 민심에 기초한 주요 정책 의제들을 제언했다.
김미애 의원은 제21대와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연달아 당선된 재선 의원으로, 22대 전반기 국회에서는 보건복지위원회 운영을 비롯한 주요 의사일정에 관한 사항을 조율하는 간사의 중책을 맡고 있다.
이날 박 협회장은 ▲치과 진료 분야 보험 급여 확대의 필요성 ▲국내 치의학 및 치과 산업의 성장과 위상 ▲융합형 치과의사과학자 양성 등의 정책 현안을 설명했다.
특히 박 협회장은 치과 진료 보험 급여 확대와 관련 “지난 대선에 이어 이번 대선에서도 보험 확대가 치과계로서는 가장 큰 이슈”라며 “당장에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국민들의 의료비를 경감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일 뿐 아니라 삶의 질도 달라질 수 있다”고 당위성을 역설했다.
또 융합형 치과의사 과학자 양성과 관련해서도 박 협회장은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의사 과학자에 대한 지원은 이미 법제화된 상황인데 반해 치과의사 과학자에 대한 지원은 태부족하다”며 “현재 전국 11개 치과대학에서 기초 치의학 분야의 발전을 이끌어 온 원로 교수들이 정년퇴직을 할 경우 5년 이내에 큰 공백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예상된다”고 힘줘 말했다.
김미애 의원은 이날 박 협회장의 설명과 제언을 주의 깊게 들은 다음 각 의제들의 추진 배경과 합리적인 대안에 대해 질의하고, 다양한 각도의 조언을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