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의 고율 관세 여파로 한국 수출이 받는 충격이 올해 하반기에 본격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상반기에는 관세 인상 전 수출 물량을 앞당기는 ‘프런트 로딩’ 효과로 관련 수출 실적이 비교적 양호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18일 BBC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경제이기 때문에 무역 긴장과 관세가 큰 영향을 준다”며 “올해 상반기에는 수출을 앞당기는 프런트 로딩이 있었기 때문에 실제 지표가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관세협상 결과에 대해 “통상 불확실성을 상당히 줄여줬다”고 평가했다. 이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와 관련해 미국의 기초과학 역량과 한국의 제조·응용 기술을 결합한 공동 벤처(JV) 구상을 제안하며 양국 협력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이 총재는 무역 다변화가 이미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무역 갈등 이전부터 글로벌 공급망은 변화하고 있었고, 중국의 산업 경쟁력이 빠르게 올라가면서 한국 기업들이 자연스럽게 공급처를 다변화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한국 경제의 안전판으로는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산업을 꼽았다. 이 총재는 “한국은 AI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하드웨어에서도 강점을 갖고 있다”며 “AI 경쟁에서 누가 최종 승자가 되든, AI 확산은 고성능 반도체뿐 아니라 기존 레거시 칩 수요까지 늘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런 점에서 한국은 다른 국가보다 비교적 안전한 위치에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제기되는 AI 버블 논란에 대해서는 “중앙은행가로서 기술적 판단을 단정하긴 어렵다”면서도 “설령 버블이 일부 있더라도 AI가 서버뿐 아니라 로봇·소형 기기 등 일상 제품에도 적용되는 ‘피지컬 AI’로 확산되면서 반도체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AI MY 뉴스] 17일 중국증시 '대내외 주요 이벤트 속 고점 변동성'](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만화경] ‘국부론’과 “기업이 곧 국력”](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OMD96I_1.jpg)

![[뉴스핌 이 시각 PICK] 엔비디아 실적, AI 투자 방향 가른다 外](https://img.newspim.com/news/2025/11/18/2511180743401130.jpg)
![K바이오 기술수출 1조 시대…10년만에 평균 계약 2.6배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MW7CIO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