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이날로 종료될 예정인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90일간 재차 연장할지 여부에 대해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며 즉답을 피했다.

오는 1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전쟁 문제를 논의하는 것과 관련해선 “(푸틴) 다음이 젤렌스키와 푸틴의 회담”이라며 우크라이나를 비롯해 유럽연합(EU) 국가들이 요구하는 미국·러시아·우크라이나가 참석하는 3자 회동 가능성을 일축했다.
“시진핑 주석과의 관계가 매우 좋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개최한 워싱턴DC 범죄근절 관련 기자회견 뒤 가진 문답에서 대(對)중국 관세에 대한 질문을 받자 “어떻게 되는지 보겠다”며 “중국은 거래를 매우 잘해왔고,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나의 관계는 매우 좋다”고 답했다.

이날은 중국과의 관세 휴전이 종료되는 날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과 함께 중국에 145%의 상호관세를 물리겠다고 했지만, 중국은 125%의 맞불 관세와 희토류 등 광물 자원을 무기화하며 맞섰다. 결국 양국은 5월 90일간 관세 부과를 낮추는 ‘휴전’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중국에 대해선 10%의 상호관세에 20%의 ‘펜타닐 관세’를 더해 공식적으로 30%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양국은 이어 휴전 시한 마감일인 11일을 앞둔 지난달 28~29일 회담에서 관세 부과를 재차 90일 연장하는 데 잠정 합의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만을 남겨둔 상태다. “중국은 거래를 매우 잘해왔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중국에 대한 초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치킨 게임’ 대신 관세 부과 조치를 재차 연장하게 될 가능성을 시사한 말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허가한 것에 대해서도 “중국이 이미 가지고 있는 구형 칩”이라고 했다. 최신 반도체인 ‘블랙웰’에 대해선 “그것은 거래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성능을) 30~50% 정도 낮출 경우 가능(수출)할 수도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중국과의 AI 경쟁을 이유로 첨단 AI칩의 대중국 수출을 차단하겠다고 공언해왔다.
“푸틴 만나 2분 안에 거래 성사 알게될 것”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에 대해선 “그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 공정한 거래라며 EU와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지도자들에게 공개할 것”이라며 “(회담 이후) 젤렌스키 대통령에게도 존중의 의미로 먼저 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푸틴) 다음은 젤렌스키와 푸틴 또는 젤렌스키와 푸틴, 그리고 나의 회담이 될 수도 있다”며 “그들이 필요로 하면 나도 거기에 있을 텐데 난 두 정상 간 회담을 마련하고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푸틴과의 회담에서 나는 첫 2분 안에 거래가 성사될지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며 “푸틴은 전쟁 대산 비즈니스 쪽으로 가게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와 EU가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과 만나 즉흥적인 의사결정을 하게될 것을 우려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참여하는 3자 회담을 요구한 것을 사실상 거부한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에 ‘영토 교환’과 ‘국경선 변경’이 이뤄질 것”이라며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의 영토를 상당 부분 인정해줄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특히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매우 중요한 지역을 점령했다”며 “부동산에서 가장 가치 있는 해안선 지역을 주로 점령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전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에서 우크라이나 군대의 철수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도네츠크는 우크라이나의 핵심 요새로, 러시아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도네츠크 저지선에 막혀 교착 속에 막대한 사상자를 내는 소모전을 지속해왔다. 만약 이 지역을 러시아에게 내어줄 경우 푸틴 대통령은 향후 우크나이나 추가 침공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될 수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우려와 관련 “(영토 변경 등)합의를 성사시키는 것은 내가 할 일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나는 젤렌스키가 (영토를 바꾸려면) 헌법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말한 게 거슬렸다”며 러시아에 영토를 양보하는 데 반대하는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