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계가 노동자 건강권 보호를 위해 오전 12시부터 오전 5시까지의 ‘새벽배송 제한’을 요구하자, 현장과 소비자 등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5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성명을 통해 “택배기사들의 과로사와 심야노동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며 “심야시간대인 오전 12시부터 5시까지의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새벽배송이 택배산업 내 과도한 경쟁과 물량 확대를 부추겨 장시간 노동을 고착화시킨다”면서 “새벽 5시와 오후 3시에 각각 출근하는 주간 연속 2교대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주장이라는 반대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 지난 3일 쿠팡 위탁 기사 단체인 쿠팡파트너스연합회가 새벽배송 기사 2천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93%가 ‘금지 반대’, 95%가 ‘심야배송 지속’을 원한다고 답했다.
전주에서 새벽배송을 하는 박모(28)씨는 “5시 이후 출근해 짐을 싣고 출차하면 최소 6시는 넘어야 현장을 나서게 된다”며 “하지만 새벽배송은 말 그대로 오전 7~8시 이전에 완료돼야 한다. 결국 제한된 시간 안에 물량을 몰아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씨는 이어 “결국 기사들이 더 빠르고 무리하게 움직여야 해 과로는 줄지 않고 오히려 사고 위험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소비자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1인 가구 김모(24)씨는 “퇴근이 늦어 장보기가 어려운데 새벽배송이 막히면 생활이 불편해진다”며 “사실상 소비자의 선택권이 사라지는 거 아니냐”고 토로했다.
지역 청년 경제인들도 우려를 표했다.
전북 청년 경제단체는 최근 “새벽배송 제한은 청년과 지역경제의 생존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 주장”이라며 “새벽배송은 단순히 대기업 서비스가 아니라 지역 청년들이 만든 온라인 소상공인 브랜드·소셜벤처·농수산 스타트업이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유통 채널이다”고 밝힌 바 있다.
이규희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