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극배우 이소자 선생을 만난 것은 10년 전이다. 선생은 팔순을 훌쩍 넘겼지만 에너지가 넘쳤다. 여성국극 초창기에 활동했던 선생은 20대 늦은 나이에 배우가 되었지만, 누구보다도 국극에 대한 애정이 깊었다. 소리 실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스스로 깨달아 연기연습에 더 많은 시간을 쏟아 배우의 역량을 쌓았다. 여성국극을 제대로(?) 만난 것은 <햇님여성국극단>에 들어가면서다.
국극은 창극의 또 다른 이름이다. 굳이 변별력을 가리자면 창극에 비해 소리보다 극의 비중이 더 큰 양식쯤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당시 여자배우들이 남장하고 무대에 서는 여성국극은 인기였다. 선생은 <바보온달>이나 <마의 태자> 같은 대표적인 국극 무대에서 악역을 주로 맡았다. 배우들은 관중들에게 미움받는 악역을 꺼렸지만, 선생은 오히려 반겼다.
대중들에게 인기 높았던 국극단이 사라진 것은 1960년대 초반이다. 단체가 해체되고도 선생은 한동안 동료들과 뜻을 모아 무대를 올렸다. 그러나 더는 희망이 없게 되자 미국 이민을 떠났다. 1974년이었다. 미국에서는 생계와 영주권을 얻기 위해 온갖 아르바이트를 하며 고단한 이민자의 삶을 견뎠다. 그 사이에도 한국을 찾아 국극 동료들과 꿈을 공유했던 선생은 자신을 위해서는 어느 것 하나도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돈으로 한국에 부동산을 샀다. 덕분에 2009년 영구귀국했을 때는 남부럽지 않은 재산을 갖게 됐다. 여성국극 부활을 실현하기 위해 나선 것도 그때부터였다. 2011년 서울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올린 여성국극 <춘향전>은 첫 결실이었다. 선생은 이 무대를 위해 의상과 모든 소품을 사비를 들여 직접 제작했다. 남원 춘향제에 초청을 받은 것도 그즈음이었는데, 국악의 뿌리가 깊은 남원을 오가며 여성국극 부활을 향한 꿈은 더 커졌다. 여성국극 전용 극장도 만들고 싶었던 선생은 2013년, 남원에서 <햇님여성국극보존회>를 출범시켰다. 전 재산을 여성국극 기금으로 내놓기도 했던 선생의 꿈은 현실이 되는 듯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국극보존회는 여러 사정으로 끝내 성사되지 못했다. 선생은 “때가 아니었던 것 같다”고 했다.
선생의 나이 올해 아흔넷. 걷기는 자유롭지 않지만 아직 건강하다는 선생의 소망은 여전히 ‘제대로 된 여성국극 <춘향전>을 올리는 일’이다.
10년 전 선생은 “보존의 의미로라도 지켜져야 하는 것이 전통이다. 좋은 작품을 만들어 상설공연 하고, 그래서 젊은 세대가 그것을 기억하고, 외국인들이 우리 공연양식을 만날 수 있다면 그것으로 족하다”고 했다.
드라마 <정년이>가 화제다. 덕분에 여성국극이 새삼 조명을 받고 있다. 이참에 전통의 힘이 발휘될 수 있으면 좋겠다. / 김은정 선임기자
##정년이 ##여성국극 ##햇님여성국극단 ##원로 국극배우 ##이소자 ##여성국극 춘향전
김은정 kimej@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