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생명보험, 야놀자(Yanolja), 증강현실(AR),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피팅(관이음쇠)/밸브, 의료AI, 온디바이스 AI, 2차전지(전고체), 탄소나노튜브(CNT), 석유화학,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2차전지(LFP/리튬인산 철),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PCB(FPCB 등), 종합상사, 조선기자재, 유리 기판, 손해보험, 2차전지(생산), 초전도체, 자원개발, 정유, 미용기기, 맥신(MXene), 전선, 셰일가스(Shale Gas),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화학섬유 등...
약세 테마모더나(MODERNA), 엔터테인먼트, 건설 대표주, 건설기계, 음원/음반, 화이자(PFIZER), 조선, 자동차 대표주, 바이오인식(생체인식), 밥솥, 골판지 제조, 딥페이크(deepfake)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전선/ 전력설비 등전력망확충법, 국회 산자위 소위 통과 및 메타, 세계 최장 해저 케이블 구축 프로젝트 공개 소식 등에 상승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금일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를 열어 정부가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산업을 위해 전력망 확충을 지원하는 내용의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을 여야 합의로 통과시킴. 에너지 3법(전력망확충법·고준위방폐장법·해상풍력특별법) 중 가장 먼저 통과한 것으로, 이 법안이 산업위 전체회의와 국회 본회의까지 통과하면 국가기간전력망으로 지정된 전력망은 국가 지원을 토대로 송전선로 확충 및 전력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편, 언론에 따르면,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모회사인 메타플랫폼(메타)이 세계 최장 해저 케이블 구축 프로젝트를 공개한 것으로 전해짐. 메타는 지난 14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오늘 우리는 가장 야심 찬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 '프로젝트 워터워스'(Project Waterworth)를발표한다"고 알렸으며, 이어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5개 대륙에 걸쳐 지구 둘레보다 긴 5만km 길이의 세계 최고 기술을 사용하는 세계 최장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힘. 메타는 새로운 해저 통로 3개 개설을 포함해 전 세계 인공지능(AI) 혁신을 주도하는 데 필요한 풍부하고, 초고속 연결성을 갖춘 해저 케이블을 구축할 것이라며 "수십억달러가 투입되는 다년간의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대원전선, 대한전선, 세명전기, 제룡산업 등 전선/전력설비 테마 상승. 아울러 LS마린솔루션, 동아지질 등 해저터널 (지하화/지하도로 등) 테마도 상승.
보톡스(보툴리눔톡신)톡신, 필러 중심 미용 의료 산업 성장 전망 등에 상승
▷DB금융투자는 톡신, 필러 중심의 미용 의료 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 특히, 업종 최대 성수기 4분기 직후 비수기 영향 및 1월 영업일 감소 영향으로 월간 성장세가 부진하며 의료기기 모든 산업군에서 월간 역성장세를 보였으나, 톡신의 경우 월간 역성장 폭이 가장 적은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 이에 높은 연간 성장세를 지속하며 미용 의료 산업 수출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하며, 강달러 흐름 지속되며 수출 비중이 높은 의료기기 산업의 실적 환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힘.
▷한편, 1월 미국향 수출 8.6백만달러(+157.7%MoM, +183.0%YoY), 성수기 직후에도 높은 연간, 월간 성장을 달성했다고 분석. 미국 외 주요 수출국인 중국향 수출 4.8백만달러(-7.7%MoM, +25.8%YoY), 브라질향 수출 2.2백만달러(+1.4%MoM, +358.9%YoY)로 성수기 직후 영향에 분기로는 부진했으나, 유의미한 연간 성장을 기록.
▷특히,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중국 NMPA 허가 및 출시된 휴젤의 중국향 톡신의 성장세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며, 중국향 톡신 성장 및 상반기 내 미국향 추가 선적이 예상되는 휴젤에 주목해야 된다고 분석. 출시 초반에는 미국 유통사향 월간 선적량의 변동성이 클 수 있으나, 미국 외 주요국 수출 성장과 더불어 2025년 분기별 수출 성장세 지속에 따른 외형 및 이익 성장을 기대.
▷이와 관련, 휴메딕스, 대웅제약, 알에프텍, 휴온스, 제테마 등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