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세대 주식 제일 못 해"…수익률 '마이너스' 개미 투자자 통장 까보니

2025-11-10

올해 들어 코스피가 4000선을 돌파하며 급등 랠리가 이어지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억대 수익 인증’이 확산되고 있고, 뒤늦게 주식 투자에 동참하는 개인 투자자들도 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를 확인해보면 개인 투자자의 절반 이상은 여전히 손실을 본 상태다.

10일 연합뉴스가 NH투자증권에 의뢰해 지난달 30일 기준 NH투자증권에 국내 주식 잔고를 보유한 고객 240만 1502명의 계좌를 분석한 결과, 손실이 발생한 투자자는 131만2296명으로 전체의 54.6%에 달했다. 이날은 코스피가 장중 최초로 4100을 돌파한 날이다. 이들 손실액 합계는 12조2154억원, 1인당 평균 손실액은 931만 원이었다.

손실 발생 비중을 연령대로 보면, 중년층의 타격이 특히 컸다. 50대의 60.1%, 40대의 59.7%가 손실을 기록하며 4050 세대에서 10명 중 6명은 '마이너스’ 상태였다. 반면 미성년자는 33.9%로 손실 비중이 가장 낮았고, 20대도 44.3%, 30대는 52.1%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다만 손실 금액 규모를 기준으로 보면 60대 이상이 평균 1369만원으로 가장 컸고, 50대(1257만 원), 40대(929만 원) 순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손실액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손실 투자자들이 보유한 종목 중 손실금액 비중이 가장 높았던 종목은 포스코홀딩스(2.7%)였으며, 카카오(2.2%), 금양(1.7%), 에코프로비엠(1.7%), 에코프로(1.3%)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카카오는 손실 계좌 중 15만4000여 명이 보유하고 있어 가장 많은 투자자가 물려 있는 종목으로 꼽혔다.

반대로 수익 계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종목은 삼성전자였다.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 속에서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 5만 원대에서 11만 원대까지 급등했고, 수익 발생 계좌에서 삼성전자의 수익 비중은 19.5%에 달했다.

SK하이닉스(9.0%)도 뒤이어 수익 기여도가 높았다. 미국 S&P500을 추종하는 ETF인 ‘TIGER 미국 S&P500’ 보유 계좌도 14만6718명에 달하며 해외지수 추종형 ETF의 존재감도 확인됐다.

한편 실제 매도해 손익을 확정한 고객 기준으로 보면 손실 비중은 28.6%로 낮아지지만, 손실 고객의 평균 손실액이 613만원이었고 3000만원 이상 손실자도 2만 명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대로 매도 후 3000만원 이상 수익을 거둔 투자자는 전체 수익 실현 투자자의 3.4%에 불과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떠도는 ‘억대 대박 수익자’는 매우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