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11개월만에 최저 변동폭…1400원 넘지 않아

2025-09-07

지난주 환율변동 폭, 8.2원...11개월만에 최소

주요국 채금금리 급등에도 원화 0.1% 강세

8월 이후 환율 1380~1400원 범위에서 등락

향후 환율 하락 전망...연말 수준은 의견 엇갈려

지난주(9월1일~5일) 원·달러 환율이 11개월 만에 가장 좁은 폭에서 움직였다. 환율은 1400원 문턱에 머물렀지만 주요국 국채 시장 불안에도 변동성은 크지 않았다.

7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주 원·달러 환율의 변동 폭(장중 고점-저점, 주간 거래 기준)은 8.2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 7일∼11일 이후 11개월 만에 주간 변동 폭이 가장 적었다. 주간 평균 환율은 1392원선이었다.

지난주 국제 금융시장에선 여러 나라 재정의 지속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일부 국가에선 정치 불안이 확대돼, 영국, 프랑스, 독일과 일본의 장기 국채금리가 급등했다. 그러나 원·달러 환율은 1400원선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주요국 채권금리 급등에도 불구하고 원화 수급이 균형을 이루면서 환율 변동성이 제한된 모습을 보였다.

달러인덱스는 0.11% 하락했고, 유로화(+0.26%)는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엔화(-0.27%)는 약세였다. 원화는 달러 대비 0.1% 강세를 나타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국채 시장 불안은 원화보다 다른 통화에 더 큰 영향을 줬다”며 “원화가 특별히 강세를 보인 것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올해 환율은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위협으로 1487.6원까지 치솟았다가 관세 유예와 협의 국면을 거치며 1400원 아래로 내려왔다. 8월 이후에는 1380~1400원 범위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미국 달러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고 원화 수급도 균형을 이루며 박스권 장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낙원 NH농협은행 FX파생전문위원은 “환율 전망의 초점은 미국에 있지만 근원물가가 3%대에 머무르며 달러가 약세로 기울지 못하고 있다”며 “트럼프 정부 상호관세 위법 판결이 기대 인플레이션 완화 요인이 될 수 있으나 대법원 판결까지 시간이 남아 있어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향후 환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연말 환율 수준을 놓고는 의견이 엇갈린다.

일부는 미국 통화정책 전환과 관세 불확실성 완화로 환율이 1370원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고 보고, 또 다른 쪽에서는 분기 말 달러 수요와 해외투자 요인으로 1400원 재진입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달러 약세로 동아시아 통화 강세 폭이 확대될 가능성을 제시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점, 트럼프 행정부가 리사 쿡 이사 해임을 통보하는 등 연준에 영향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점도 달러 약세 요인으로 꼽힌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3분기 환율은 1350~1400원에서 등락하다가 4분기에는 관세·금리 인하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하락세로 전환할 것”이라며 “연말에는 1,370원 밑돌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그는 미국의 반도체 고율 관세, 물가 반등, 연준 금리 인하 중단 등은 환율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9월 중순 미국 금리 인하와 함께 환율이 1,370∼1,380원 선까지 낮아졌다가 분기 말 달러 수요 증가에 반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연말에는 미국 달러화 자산 수요와 연기금 해외투자, 기업 생산기지 이전에 따른 달러 수요 등을 반영해 환율이 140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전국매일신문] 정영선 기자

jys2030@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