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돼지 구제역이 전남 무안에서 3건 추가 발생해 16일 오후 3시 기준 모두 5건으로 늘었다. 방역당국은 3월 긴급 백신접종 완료 후 ‘면역형성기간(2∼3주)’이 지난 상황에서 돼지 구제역 5건 모두 임상 증상이 없던 만큼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양성 개체만 선별적으로 살처분하기로 했다.
구제역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송미령·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따르면 12일 무안 양돈장 2곳과 13일 1곳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 앞서 10일엔 같은 지역 양돈장 2곳에서 발병했다. 추가 발생농장 3곳의 사육규모는 2곳은 각각 1900여마리, 1곳은 3200여마리다.
논란이 되는 것은 이들 5곳의 살처분규모다. 무안 1·2호 발생농가는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사육마릿수 전체(각각 5223마리·1736마리)를 살처분했다. 무안의 한 돼지농가는 “소에서 바이러스가 옮겨왔을 확률이 높은데, 왜 양돈농가가 피해를 봐야 하느냐”며 “임상 증상도 없는 마당에 전체를 살처분하는 건 과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여론을 의식한 듯 중수본은 16일 “긴급 백신접종 완료 후 면역형성기간이 경과했고, 방역대(반경 3㎞) 외 추가 발생이 없었던 점 등을 고려해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3·4·5호 농가에 대해선 확진 개체만 선별적으로 살처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