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현지시간) 오후 2시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에 있는 디레이 제임스 교정시설. 겹겹이 둘러싸인 철장 안 건물 앞에 미결수들이 입는 푸른색 수용복 하의를 입은 30여 명이 줄을 서기 시작했다.
30도가 훌쩍 넘는 무더위 속에 간수의 지시에 따라 서류 한 장씩을 들고 100여m 옆 조사실로 이동하는 모습이 300여m 떨어진 철장 너머에서도 선명하게 보였다. 중앙일보가 포착한 조지아 서배너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공장에서 체포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의 실제 모습이다.
첫 번째 그룹이 조사실로 끌려가듯 들어가고 30여 분이 지나자 또 다른 30여 명이 줄을 서서 먼저 들어간 동료들을 기다렸다. 잠시 후 조사를 마친 사람들이 조사실에서 나왔다. 그런데 인원이 10여 명으로 줄어 있었다.
조사실 내부에서 수감자들의 체류 자격 심사를 진행해 한국인 근로자들을 다시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업의 투자로 이뤄진 미국 현지 공장의 준공을 앞당기기 위해 급파된 한국 기술자들이 하루아침에 불법 체류 범죄자가 돼 조사를 받았다.
기자가 시설 밖에서 큰 소리로 “한국인들이 얼마나 있는가” “시설 내부의 상황은 어떤가” 등을 물었지만, 시설의 관리자들이 급하게 가로막으면서 근로자들과의 소통은 이뤄지지 못했다.
시설 관계자는 무기를 소지한 채 “사유지로 한 발자국이라도 들어오면 체포하겠다. 촬영도 안 된다”며 언성을 높였다. “공유지에서의 취재는 언론의 자유”라고 맞선 기자와의 실랑이가 이어진 끝에 경찰이 출동해 “사유지 밖에서의 취재는 가능하다”고 유권해석을 하고 나서야 시설 관계자는 한발 물러났지만, 차량을 세워놓고 취재 과정을 계속 감시했다.
근로자들이 구금된 곳은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체포한 사람들에 대한 처리가 결정될 때까지 이들에 대한 관리를 위탁받아 시행하는 민간시설이다. 그런데 이 시설은 국토안보부(DHS) 감사실의 불시 검사에서 지적을 받을 정도로 열악하다. 2022년 6월 보고서엔 “찢어진 매트리스, 누수, 고인 물, 곰팡이, 낡은 샤워 시설, 환기 시스템에 곰팡이와 잔해, 만연한 벌레, 뜨거운 물이 부족한 샤워, 고장난 변기와 냉동고, 따뜻한 식사의 부재”가 지적돼 있다.
또 수감자에게 부적절하게 수갑을 채우고, 수감자의 소유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정부 관계자는 중앙일보에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 추방 실적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의 단속을 벌였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며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해당 사안에 대해 ‘단속 기관이 제 할 일을 한 것’이라고 밝힌 상황에서 결정을 번복하기 더 어렵게 됐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번 단속은 한국 기업과 정부에 미국 내 사업 운영의 정치적 현실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며 “한·미 관계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 당국은 현대차가 8월 사상 최대 판매량을 달성할 당시 수색영장을 확보하고 있었다”며 이번 체포 작전의 배경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치적 목적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