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 변두리 아니라 주류. 욕심부릴 때 왔다” NYU 미술사대학원장 조앤 기 인터뷰

2025-01-13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입구에서는 5월 말까지 이불(61)의 조각 네 점을 볼 수 있다. 런던 테이트 모던은 5월 1일부터 서도호(63)의 대규모 개인전을 연다. 런던 헤이워드 갤러리는 양혜규(54)의 20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윤년’을 지난 5일 마쳤다.

세계 주요 미술관에서 동시대 한국 미술가의 대규모 전시를 만날 수 있는 요즘이다. 그러나 조앤 기(50ㆍ기정현) 뉴욕대 미술사대학원(IFAㆍInstitute of Fine Arts) 원장은 “미술관들이 ‘한국 작가 전시 한 번 했으니 당분간 안 해도 되겠다’고 여기지 않도록, 한국 미술에 대한 세계적 관심을 계속 유지하게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앤 기는 뉴욕대 IFA의 첫 유색인종 원장으로 지난해 8월 임명됐다. 당시 뉴욕대 총장 린다 밀스는 “뉴욕대 전체를 미술사로 잇고 협업을 지원하는 능력, 차세대 미술사가 양성에 대한 그녀의 견해에 감명 받았다”고 밝혔다. 한국미술 프로그램 마련을 위해 서울에 온 그를 8일 만났다.

한국에서 초등ㆍ중학교를 졸업한 기 원장은 예일대 미술사학과를 우등 졸업한 뒤 하버드 로스쿨을 나와 변호사로 활동했다. 이후 IFA에서 ‘한국의 단색화 연구’(2008)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시간대 교수로 일했다. 박사 논문을 발전시킨 책 『한국의 현대미술-단색화와 방법의 긴급성』(2013)은 단색화에 대한 첫 영문 저술이다.

당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며 “한국 미술, 하이 컬처(high culture)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 ‘이것은 한국 미술’이라고 강조하기보다 작품 자체에 대한 세밀한 분석으로 관심을 끌어야 한다”고 조언했던 그다. 12년 사이 단색화는 세계 미술의 흐름과 조응한 한국의 현대 미술 사조로 주목 받았고,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은 단색화 이후 한국의 실험미술에 대한 전시도 열었다. 그는 “출판사 9곳으로부터 거절당했던 단색화 책은 이제 베스트셀러다. 한국 미술의 연구 분야도 확장됐다”고 말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바로 건너편에 있는 IFA는 ‘미술관장 사관학교’다. 사샤 수다 필라델피아미술관장 등 이곳 출신 관장이 40명 넘는다. 연간 예산 2000만 달러(약 295억원)로 어지간한 미술관보다 많다. 미술사ㆍ고고학ㆍ보존과학 대학원 과정이며,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의 초석을 마련한 삼불(三佛) 김원용(1922~93)이 여기서 ‘신라 토기 연구’로 1959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93년 역사의 이곳에 오는 가을 처음으로 한국미술 강좌가 생긴다. ‘대한제국과 일상생활의 실천’이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준비 중인 대한제국 전시 ‘허약한 제국들: 한국과 프랑스, 1860~1910’을 계기로 이곳의 한국미술 담당 현수아 큐레이터와 유럽장식미술의 문혜연 큐레이터가 여는 공동 강좌다. 2020년 서울의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마련한 ‘신왕실도자, 조선왕실에서 사용한 서양식 도자기’ 전시가 영감을 줬다. 그동안 주목 받지 못한 생활사의 측면에서 대한제국기의 근대화ㆍ서구화를 바라본 전시로 화제를 모았다.

내년 봄에는 미켈레 마테이니 교수가 근대 한국의 수묵화를 강의한다. 한 두 강좌 개설이 끝이 아니다. 기 원장은 “궁극적으로 한국 미술사에서 세계 최고의 프로그램 마련을 위해 초빙교수와 박사 후 연구원, 두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라며 “트렌드에 민감한 미술계에서 한국미술 한류를 지속하려면 10년, 20년 뒤를 바라보고 사람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미술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 마련은 미국 대학에서 처음이다. 그는 “아시아 근현대 미술을 놓고 보면 문화혁명의 억압을 지나온 중국, 규모가 작은 대만, 연구가 폐쇄적인 일본에 비해 한국의 유연함이 경쟁력 있다. 때론 안에서 보는 것보다 밖에서 더 잘 보이는 것들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리스 로마, 르네상스 미술 수업 없는 학교가 없듯 30~40년 뒤에는 한국 미술도 상설 과목이면 좋겠다”는 야심도 밝혔다.

기 원장은 “한국 미술은 새로운 이야기의 보고”라며, 지역과 장르, 세대를 넓혀 새로운 이야기를 발굴하자”고 했다. 그 예로 지난해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연 ‘한국 근현대 자수’를 들며 “직물, 공예, 여성 노동의 이야기를 재발견하는 세계 미술사의 트렌드와도 조응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불ㆍ서도호ㆍ양혜규 다음 세대 현대미술가들을 뒷받침하는 연구, 서울 외 지방 작가들부터 변월룡처럼 러시아의 한국 화가, 공예ㆍ디자인ㆍ춤ㆍ퍼포먼스로까지 확장하자”고 강조했다.

최근 한국 문화관광연구원은 북미 주요 미술관 20곳에 소장된 한국 현대미술품이 1120점이라는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그러나 눈에 띄는 전시로 이어지는 일은 드물다. 기 원장은 “예전 같으면 한국 미술이 전시에 한두 점이라도 나오면 고맙게 여겼겠지만 이제는 한국 미술이 변두리가 아니고 주류라고, 욕심 부릴 때가 왔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