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마초 판매점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판매점이 여러 개 몰려 있는 지역일수록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대마초 소지와 판매가 불법이지만, 캐나다와 미국 일부 주 등 해외 국가에서는 대마초를 합법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25일 국제학술지 '내과학 연보'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대마초 판매점에서 1㎞ 이내에 사는 주민들의 대마초 관련 응급실 방문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판매점에서 1㎞ 이상 떨어진 지역에서는 오히려 응급실 방문율이 감소했다. 캐나다 노스요크종합병원 연구팀은 온타리오주에 거주하는 15~105세 주민 약 614만명의 건강 및 인구 정보를 분석했다. 연구 기간은 2017년 4월부터 2022년 12월까지로 총 1만574개 지역을 조사했다. 캐나다는 2018년 10월 대마초를 합법화했다.
연구팀은 대마초 판매점에서 1㎞ 이내 지역을 '노출 지역', 1㎞ 이상 떨어진 지역을 '비노출 지역'으로 분류하고 15세 이상 인구 10만명당 대마초 관련 응급실 방문 비율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노출 지역은 비노출 지역에 비해 대마초 관련 응급실 방문율이 12% 더 높았다. 특히 1㎞ 반경 안에 대마초 판매점이 여러 개 있는 지역에서는 응급실 방문 증가폭이 더 컸다. 대마초 판매점은 대도시와 저소득층 밀집 지역에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대마초 합법화 자체보다는 상업화와 판매점 밀집이 공중보건에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대마초 판매점의 총 개수를 제한하거나 판매점이 한곳에 몰리지 않도록 하거나 개점 가능 지역을 제한하는 방안이 공중보건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5년간 2861명 사망케 했다”…평소 ‘이것’ 쓰고 다녀야 [수민이가 궁금해요]](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2025112750346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