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 대응 시스템 3단계 시범 사업 확대
위험 징후 발견 시 의료진에 즉시 조치
중환자실 입실률·심정지 발생률 '감소'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일반병동 입원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 참여 기관이 45곳에서 55곳으로 늘어난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1일부터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예기치 못한 상태 악화를 사전에 방지하는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 사업'을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신속대응시스템은 일반병동 입원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대응팀이 즉각 개입해 환자의 상태 악화를 예방하는 환자 안전관리 체계다. 참여 기관은 환자의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의사, 간호사 등 인력을 배치하고 장비를 갖춰야 한다.

올해 참여 기관은 기존 45곳에서 55곳으로 10곳 늘었다. 상급종합병원 38개소와 종합병원 17개소다. 새롭게 확대된 10개 기관 중 8개 기관은 현재 일부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으나 향후 6개월 내 모든 요건을 충족해야 최종 승인이 확정된다.
시범 사업 참여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고위험 상태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받을 수 있다. 위험 징후 발견 시 신속대응팀 또는 병동 의료진에 의해 즉시 초기 조치를 받게 된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 사업 확대로 중환자실 입실률 감소,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 감소, 재원일수 단축 등 의료 질 향상과 함께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 사업은 오는 2027년 12월까지 시행된다. 복지부는 이후 본사업 추진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중규 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은 "이번 시범 사업 확대를 통해 보다 더 많은 환자들에게 더 안전하고 질 높은 입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환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의료진의 노력에 대해 합당한 보상을 할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