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가 접속 대기 중인 재생에너지 발전소 중 437㎿ 규모의 설비를 연말까지 전력망에 접속하겠다고 밝혔다. 접속 대기란 발전소 운영 준비를 다 마쳤지만 전력망 구축이 늦어 전기를 판매하지 못하고 기다리는 것을 의미한다.
산업부는 29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2025년 제2차 전력계통혁신포럼’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확대하기 위해 전력망 연결을 기다리고 있는 소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자들을 차례로 접속시키겠다는 이야기다. 정부 관계자는 “인·허가 지연 요소에 대해서는 개별 현안에 대해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관계 기관과 소통해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며 “이를 통해 전남은 물론 광주·전북·대구·경북 지역에서도 잔여 대기 물량이 단계적으로 해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포럼에서는 한전과 전력거래소, 전기안전공사, 국가기술표준원 등이 참여해 △인버터 성능 기준 강화 △지역 단위 계통 운영역량 강화 △전력 설비 전자파 정보공개 확대 등의 과제를 집중 논의했다. 우선 전력 당국은 인버터 성능 규정 개선을 추진한다. 전력계통 고장으로 전압이나 주파수가 바뀌어도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전력망에서 탈락하지 않고 계속운전할 수 있는 지속운전성능이 강화돼야 한다는 취지다. 올해 4월 발생한 스페인 대정전 역시 일부 지역에서 계통 이상이 발생한 직후 여러 발전소가 동시다발적으로 전력망에서 자동 탈락하며 발생했다.
이외에도 전력 당국은 기관 간 정보 연걔를 통해 계통 운영 역량을 강화하고 전력설비 증설에 대한 지역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 곳곳에서 전자파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플랫폼을 연내 구축할 방침이다.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전력망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계통 운영 및 관리자들의 통합 대응력 강화와 사업자들의 책임성 확대를 합리적으로 병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