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최근 20대 청년층에서 '결혼하지 않아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17일 통계청 '2024년 사회조사'와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대 청년 5명 중 2명(42.8%)은 비혼 출산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는 지난 2014년 30.3%에 비해 10년 새 12.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비혼 출산을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5.7%에서 14.2%로 3배 가까이 늘어 주목된다. 반면, '전적으로 반대한다'는 응답은 34.9%에서 22.2%로 감소하며, 청년층의 가치관 변화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성별로 보면, 20대 남성 43.1%, 여성 42.4%가 비혼 출산에 긍정적으로 답하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은 남성(12.6%)보다 여성(15.9%)이 더 높아, 여성이 비혼 출산에 대해 더 열린 태도를 보였다.
한편,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거나 '하는 것이 좋다'고 답한 20대 비율은 2014년 51.2%에서 올해 39.7%로 감소했다. 결혼이 필수라는 인식은 줄어든 반면, 비혼 출산에는 보다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실제 출산율에서도 비혼 출산의 증가세는 뚜렷하다. 지난해 혼외 출생아는 1만900명으로, 전년 대비 1천100명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인 23만 명으로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그러나 비혼 출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지원하려는 움직임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대부분의 출산·양육 지원 정책이 '결혼한 부부'를 기준으로 설계되어 비혼 출산 가정은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이기 쉽다.
정부는 저출생 대책을 발표하며 양육 및 주거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지만, 비혼 출산 관련 정책은 제외됐다. 전문가들은 가족의 형태 다양성을 고려한 제도적 접근이 저출산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OECD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비혼 출생 비율은 프랑스 62.2%, 영국 49.0%, 미국 41.2%로 한국(4.7%)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혼외 출생 비율이 OECD 평균 수준에 도달하면 합계출산율이 1.55명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김영철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비혼 출산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통해 출산율을 높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현실적인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