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정부가 샴 고양이 등 자국 고양이 5개 품종을 ‘국가를 상징하는 반려 동물’로 공식 지정했다. 토종 품종을 보호하는 동시에 고양이를 활용한 관광 등 문화 콘텐트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도다.

태국 일간 방콕포스트 등에 따르면 태국 정부는 18일(현지시간) 회의에서 해당 안건을 의결하며 “역사 연구와 유전학 연구 결과, 태국 고양이가 외모와 성격에서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방콕포스트는 “수 세기 동안 태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 태국 고양이는 전통뿐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깊이 녹아있다”며 “독특한 외모와 외향적인 성격으로 국민적 자부심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일부 품종은 왕실에서 기르거나 사원 의식에 등장하는 길조의 고양이로도 여겨지기도 한다.
지정 대상은 ▶샴 ▶수팔락 ▶코라트 ▶곤자 ▶카오마니 등 다섯 품종이다. 샴 고양이는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은 태국계 품종으로 날렵한 체형과 파란 눈이 특징이다. 구릿빛이 감도는 짙은 갈색 털을 가진 품종인 수팔락은 전통적으로 ‘부를 부르는 고양이’라는 인식이 있다고 한다. 코라트는 ‘행운’. 곤자는 ‘액운 막이’, 카오마니는 ‘하얀 보석’을 각각 상징한다. 태국 고문서에는 이들 5개 품종이 중세 시대부터 왕실, 불교 신앙, 농경 사회의 풍요와 연관된 존재로 기록돼있다.
태국 정부는 이번 지정이 이들 고양이의 보존 외에 태국의 ‘소유권’을 지키는 데도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외국에서 임의로 품종을 등록하거나 상업적 권리를 주장하는 움직임을 막고 정부 차원에서 고양이와 연계된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뜻이다.
태국 정부는 고양이 박람회, 고양이를 활용한 캐릭터·애니메이션, 관광 코스 등을 개발해 문화 수출 상품으로 만들 계획이다. 이와 관련, 일본 닛케이는 “문화 진흥과 고양이 관련 비즈니스 창출을 동시에 노리는 국가 상징 전략의 연장선”이라고 소개했다.

실제 태국은 국가 상징 체계 정비에 각별한 관심을 쏟은 나라로 꼽힌다. 1963년 코끼리를 국가 동물로 지정한 데 이어 2019년 샴 투어(Siamese fighting fish)를 국가 수생동물로, 2022년 나가(Naga·머리가 여러 개 달린 뱀)를 국가 신화 속 동물로, 2024년 ‘와이(wai)’를 국가의 인사법으로 차례로 지정해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