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금리와 미분양 악재, 건설업계 전반에 구조적 위기
- 추가 부실 기업 우려, 정부·금융권의 적극적 대응 필요
[녹색경제신문 = 문홍주 기자] 신동아건설이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국내 중견건설사들의 부실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번 사태는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닌, 중견건설사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구조적 위기를 드러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된 주요 배경으로는 경기 침체와 고금리 환경, 그리고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인한 미분양 문제가 꼽힌다.
특히 신동아건설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과도하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금리가 급등하며 이자 부담이 폭증했고, 추가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지방을 중심으로 추진한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미분양이 증가하며 현금 흐름이 악화된 것도 위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도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철근, 콘크리트 등 주요 자재의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신동아건설의 수익성이 악화되었다. 여기에 내부적인 경영 문제도 위기를 심화시켰다. 경영진의 잦은 교체와 무리한 사업 확장은 전략적 일관성을 떨어뜨렸고, 협력사와의 공사비 지급 지연 문제 등으로 시장 신뢰도 또한 하락했다.
이러한 상황은 신동아건설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중견건설사 전반의 위기를 드러낸다. 금리 인상과 PF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재무 상태가 취약한 중견건설사들이 줄도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기준 미분양 물량이 7만 가구를 넘어섰으며, 이는 건설사들의 현금 흐름을 더욱 악화시킬 전망이다. 또한 공사비 지급 문제로 협력사와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중견건설사들은 추가적인 사업 추진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융 전문가들은 중견건설사들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무리한 사업 확장을 지양하고 핵심 사업에 집중해 재무 건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불필요한 자산 매각과 비용 절감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사업 다각화를 통해 새로운 수익원을 모색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또한 정부와 금융권은 미분양 관리지역에 대한 지원책을 확대하고, PF 대출 상환 기한 연장을 통해 시장의 연착륙을 도울 필요가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은 한국 건설업계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건"이라며 "중견건설사들이 이번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 나갈지가 한국 건설업계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했다.
문홍주 기자 re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