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中 양광전력② 인버터 이어 '에너지저장'으로 제2의 성장기

2025-11-05

태양광 침체기 속 신성장동력 된 '에너지저장'

업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ESS 경쟁력 보유

상반기 ESS 매출, 최초로 인버터 사업 추월

AIDC 수요 확대, ESS 사업의 新 성장동력

이 기사는 11월 5일 오후 4시1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中 양광전력① 태양광 침체기 속 주가∙실적 나홀로 역주행>에서 이어짐.

◆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저장' 기술 경쟁력 보유

1997년 설립된 양광전력(陽光電源∙SUNGROW 300274.SZ)은 태양광 인버터 사업을 시작으로 친환경 청정 전력 개발 분야에 집중하며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 전기차 및 충전, 수소에너지 등 다섯 개 사업 라인을 구축했다.

양대 주력 사업 라인인 △태양광 인버터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다.

양광전력은 글로벌 태양광 인버터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으로 10년 연속 화웨이에 이어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두 기업은 전세계 태양광 인버터 시장 출하량의 55%를 차지했다.

최근 양광전력의 성장동력의 축은 점차 ESS 사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양광전력의 ESS 출하량은 9년 연속 중국 기업 중 1위를 차지했고, 올해 상반기 ESS사업 매출이 기존의 주력 사업이던 태양광 인버터 부문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올해 상반기 태양광 인버터 등 전력 전자 변환 장비 사업 매출은 153억27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06% 증가했으며, 전체 매출의 약 35.21%를 차지했다. 반면, 해당 기간 ESS 매출은 178억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78% 급증했고, 전체 매출 비중 또한 40.89%로 늘었다.

2024년 36.69%였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매출총이익률(GPR,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마진율)은 올해 상반기 39.92%로 상승했다. 이는 업계 선두 수준을 보였던 태양광 인버터의 GPR(35.74%) 수준을 능가하는 수치다.

◆ AIDC 수요 확대, ESS 사업 고속성장 견인

태양광 업계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의 결합은 반드시 취해야 할 성장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에너지저장은 현재 태양광 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로 떠올랐다.

앞서 당국은 '신형 에너지 저장 규모화 건설 특별행동계획(2025~2027년)'을 통해 2027년까지 신형 에너지 저장 설비 용량을 180 기가와트(GW)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동시에 에너지 저장 시스템 비용이 크게 하락하고 전력 시장화 거래가 진전을 이루면서, 에너지 저장의 경제성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비용 하락과 관련한 단적인 예로 2시간 리튬배터리 저장 시스템 가격은 2023년에 비해 64% 내려간 상태다.

ESS 산업의 고속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양광전력은 ESS 사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로 해당 분야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성장잠재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DC)에서의 폭발적인 에너지 저장 수요는 ESS 산업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전세계 데이터센터(DC) 전력 소비량에서 AIDC의 전력 소비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7.6%에서 2027년 18%로 늘어날 전망이다.

AIDC 산업체인과 ESS 산업체인은 높은 연관성을 갖는다. 모두 전력 전자, 배터리, 온도 제어 등의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AIDC의 강한 수요는 ESS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전망이다.

이러한 시대적 트렌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양광전력은 현재 AIDC 사업부를 신설해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다.

미국의 설치 수요 급증, 유럽의 공장·상업용 ESS 수요 확대, 중동 대규모 저장 프로젝트의 폭발적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양광전력의 AIDC 관련 제품의 판매량이 늘어나고, 이는 실적 전반에 대한 기여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국내외 시장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에너지저장 배터리 수요 또한 ESS 산업에 추가적인 성장동력을 불어넣어줄 전망이다.

중국국가에너지국과 기타 기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3분기 글로벌 리튬이온 저장장치 신규 설치용량은 170GWh를 넘어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다. 신규 설치 연계 용량은 국내는 82GWh로 61% 증가, 해외는 94GWh로 74% 증가했다.

애건증권(愛建證券)은 최신 보고서를 통해 실적이 수확기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AI 인프라 건설 붐이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이끌 것으로 예상하며, 최초로 양광전력에 '매수' 투자의견을 부여했다. 양광전력의 두 주력 사업 또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우선 인버터 사업의 경우 전 세계 태양광 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양광전력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가운데, 업계에서 점진적 가격 하락 추이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러한 판단 하에 2025~2027년 양광전력의 인버터 사업 매출 성장률을 각각 15%, 10%, 5%로 예측했다.

에너지 저장 사업의 경우 글로벌 에너지 저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해당 분야의 선도적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양광전력의 우위가 더욱 선명해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다만 업계 경쟁이 점진적으로 심화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해 2025~2027년 양광전력의 에너지 저장 사업 매출 성장률을 각각 30%, 20%, 10%로 예상했다.

<中 양광전력③ 독일·홍콩 상장 추진,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