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뮤지컬 창작 60년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2025년 제78회 토니상에서 작품상 등 6관왕(작품상·연출상·각본상·음악상·무대디자인상·의상디자인상)에 올랐습니다. 시작은 서울 대학로의 작은 소극장이었지만 뉴욕 브로드웨이로 건너가 대극장에서 ‘오픈런’으로 해외 관객까지 사로잡은 덕분입니다. 1966년 예그린악단의 ‘살짜기 옵서예’가 우리 뮤지컬 1호로 무대에 오른 지 약 60년 만의 쾌거죠.
오랜 창작과 연희의 전통이 있던 나라이긴 해도 서구식 뮤지컬의 불모지였던 한국에서 이 같은 기적이 어떻게 가능해진 걸까요. 고무신 신고 ‘살짜기 옵서예’를 보러 갔던 시절로부터 연 매출 5000억원 시장에 해외 진출 K뮤지컬이 잇따르기까지 무대 뒤에선 어떤 일들이 벌어졌던 걸까요. 불가능한 꿈을 현실로 만들어낸 사람들의 한편의 뮤지컬 같은 60년 도전사를 만나봅니다.
우리가 북한의 피바다 가극단과 비교 당한다는 게 말이 됩니까!
아닙니다!
무조건 승리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네 그렇습니다!… 어떤 공연을 만들면 될까요?
뭐 그런 거 있지 않습니까. 완전히 새롭고 한 번도 알려진 적 없는, 대단한 썸띵 뉴…
(뮤지컬 ‘더 퍼스트 그레잇 쇼’ 1막 초반, 일부 중략)

상상해보자. 1960~70년대 남북 간 체제 대결 상황에서 실질적 권력을 휘두르는 중앙정보부가 북한에 맞설 ‘국가대표’ 공연예술단을 만들라는 지령을 내렸다고. 놈들 코를 납작하게 해 줄 ‘완전히 새롭고 대단한 썸띵 뉴(something new)’ 공연을 선보인다는 목표로. 그래서 호출된 게 뮤지컬이다. 당시 대다수에겐 “갑자기 연기하다가 노래 부르고 춤추고, 그런 거”로 인식됐던 서양식 장르.
그때까지도 한국은 국제기구 원조를 받는 나라였다. 1인당 국민총생산(GNP)이 1965년 105달러로 북한(162달러)에도 못미쳤다. 1970년에야 252달러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북한(230달러)을 추월했다. 그런 나라에서 미국 브로드웨이, 영국 웨스트엔드에서나 볼 수 있는 복합공연예술을 창작·상연하겠다고 팔을 걷었다.
작가 도전한다 기적처럼/ 지금 내겐 확신만 있을 뿐/ 해내고야 만다
작곡가 한국 뮤지컬
연출 해내고 만다
작가/연출 불가능한 일
실장 가능하게 만드는 게 너희 일
작가/작곡가/연출 가능으로 만드는 건 멋진 일

무대·의상·조명 등은 둘째치고 작사·작곡·안무까지 ‘맨땅에서 헤딩’하며 덤볐다. 춤도 노래도, 아니 발성법까지 만들어내면서 익혔다. 공연장이라야 봤자 평소 대국민 연설을 위해 사용되던 시민회관 사각무대가 전부였다. 그렇게 이 땅에 막이 올랐다. 우리 손으로 만든, 우리의 이야기, 창작뮤지컬 1호 ‘살짜기 옵서예’가. 1966년 10월 26일이었다.
이 1호 뮤지컬을 공연한 곳이 예그린악단, 현재 서울시뮤지컬단의 전신에 해당한다. 서울시뮤지컬단은 이 ‘1호 뮤지컬 제작기’를 토대로 지난 5월 29일부터 6월 15일까지 창작뮤지컬 ‘더 퍼스트 그레잇 쇼’를 초연했다. “뮤지컬이란 개념조차 낯설었던 1960년대, 국가적 명령으로 ‘최초이자 최고의 쇼’를 만들어야 했던 이들의 기상천외한 도전”을 다룬 작품이다. 프로그램북에 밝혔듯이 전체적으론 허구다. “선배들의 발자취에 상상을 덧입힌 새로운 이야기”다.

그렇다 해도 약 60년 전 K뮤지컬 창작 1호가 무대에 올라간 것도, 국가가 지원한 뮤지컬공연단이 만들어진 것도 역사적 사실이다. 그때로부터 부단하게 굴린 바퀴가 달리고 달려 ‘어쩌면 해피엔딩’의 토니상 6관왕까지 이르렀다. ‘더 퍼스트 그레잇 쇼’ 속 노래가사처럼 한국 뮤지컬 크리에이터들은 “불가능해 보여도 결국 마지막엔 해피엔딩”을 꿈꿨고 마침내 이뤘다. 시계추를 60년 전으로 되돌려 ‘완전히 새롭고 대단한 썸띵 뉴’에 도전했던 그들의 땀과 눈물을 만나보자.
남들보다 대단치 않아도
들려줄 이야기는 남아 있어
무대만 있으면 해볼 만해
우리도 기다렸던 순간 지켜야만 해
함께라면 못할 게 뭐야
(뮤지컬 ‘더 퍼스트 그레잇 쇼’ 2막 후반, 일부 중략)
“패티김, 후라이보이 볼래” 암표까지 성행
1966년 10월 26일 서울 세종로 시민회관(지금의 세종문화회관 자리) 앞에 긴 줄이 늘어섰다. 이날 첫선을 보이는 예그린악단의 ‘살짜기 옵서예’를 보려는 관객들이었다. 총 3000명 수용 가능한 극장의 A석 표값은 300원, B석 200원, C석 100원. 국수 한 그릇이 10~15원할 때다. 지금 돈으로 환산하면 가장 싼 C석이 3만~5만원쯤이다.
사람들은 ‘갑돌이와 갑순이에서 공자님까지 즐길 수 있는 예그린 뮤우지컬!’(기획진이 내세운 캐치프레이즈)을 보기 위해 암표까지 마다하지 않았다. 일단 출연자가 빵빵했다. 전통소설 배비장전을 해학적으로 손질한 작품에서 주인공 기생 애랑을 인기가수 패티 김(당시 28세)이 맡았다. 풍만한 체구와 가창력이 돋보였던 그는 1960년 일본 NHK-TV에 한국 연예인 최초로 출연했고, 이후 미국 라스베이거스 뮤지컬에 출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