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값이 숨 고르기에 들어선 사이 구리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찍으며 시장의 관심이 옮겨가고 있다. 미중 갈등이 완화될 경우 반도체·전기차·재생에너지 분야의 수요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29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전날 구리 현물은 1톤당 1만917달러(한화 약 1553만 원)로 마감했다. 이는 한 달 전보다 7.81% 오른 수준으로, 지난 27일에는 장중 1만1094달러(한화 약 1578만 원)를 찍으며 17개월 만에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한 바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구리 관련 상품의 수익률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일주일간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원자재 상장지수펀드(ETF) 가운데 ‘TIGER 구리실물’이 13.93%로 수익률 1위를 차지했고, ‘KODEX 구리선물(H)’은 10.43% 올라 3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금·은 ETF는 2~4%대 상승에 그쳤다.
구리는 전력망과 도로 등 인프라 건설, 전자·자동차 제조 등 산업 전반에 필수적인 소재로 꼽힌다. 특히 세계 최대 소비국인 중국과 미국의 갈등이 완화되면 구리 소비도 자연히 늘 것으로 예상된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데이터센터와 전력망 확충이 활발해진 점도 수요 확대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블룸버그는 “증권사 골드만삭스가 구리값 강세를 예고해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며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대부분의 업계 관계자들이 향후 구리 가격이 몇개월에 걸쳐 사상 최고치 등극을 여러차례 시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전망했다”고 전했다.
공급 차질도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지난달 인도네시아의 대형 구리 광산인 그라스버그에서 사망 사고가 발생하면서, 해당 광산 운영사의 내년 현지 생산량이 약 35% 줄 것으로 예상된다. 칠레와 콩고민주공화국에서도 사고와 운영 지연이 이어지며 생산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제구리연구그룹(ICSG)은 “내년 구리 공급이 수요 대비 약 15만 톤 부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공급난이 지속되면 구리 가격이 톤당 1만2000달러(한화 약 1707만 원)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급등세를 이어가던 금은 하락세로 돌아섰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12월물은 트로이온스당 4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며 전날 종가 기준 3983.1달러(한화 약566만 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일 고점보다 약 10% 낮은 수준이다.

![[AI MY 뉴스] 엔비디아 블랙웰 칩 중국 수출 허용되면 실적·주가 '상승 날개'](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특징주] RFHIC, 엔비디아의 노키아 투자 소식 +20%대 급등](https://www.jeonmae.co.kr/news/photo/202510/1196930_909894_1348.jpg)

